인천시와 인천항만공사,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인천항 진입도로와 항만 배후단지 내 도로 관리권 이관 문제를 해결할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기로 했다.인천시, 인천항만공사, 인천해수청은 29일 인천시청에서 '인천 해양수산발전 고위정책협의회'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이날 회의에는 인천시 박준하 행정부시장, 인천항만공사 남봉현 사장, 인천해수청 박경철 청장 등이 참석했다.인천항만공사와 인천해수청은 인천 신항대로(8.1㎞)와 인천 남항 배후단지인 아암물류1·2단지 진입도로(7.3㎞), 아암물류2단지 내 도로(20㎞) 등에 대한 관리권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으로 이관돼야 한다고 요구한다. 이들 도로가 경제자유구역 내에 위치한 데다, 일반 시민들도 이용하기 때문에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게 합당하다는 이유에서다.인천항만공사와 인천해수청은 도로에서 발생하는 불법 행위를 직접 단속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점, 도로 관리를 전담하는 인력이 없는 점 등도 관리권을 지자체에 넘겨야 하는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반면, 인천경제청은 일정 기간 유지·관리 비용을 인천항만공사와 인천해수청에서 부담해야 인수인계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들 도로는 항만시설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를 인천시 예산으로 관리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게 인천경제청의 설명이다.이날 인천시, 인천항만공사, 인천해수청은 실무자가 참여하는 TF팀을 만들어 합의점을 찾기로 했다. TF팀은 도로 관리권 이관에 쟁점이 되고 있는 관리비 부담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게 된다.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시민과 인천항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선 최대한 빨리 관리권 이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게 각 기관의 공통된 입장"이라며 "TF팀 운영을 통해 해결책을 찾겠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29일 '제7차 인천 해양수산발전 고위정책협의회'가 인천시청에서 박준하 행정부시장과 남봉현 인천항만공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다. /인천시 제공
2018-11-29 김주엽
환경부, 위원 15명 위촉·1차 회의시민연대 "현장 몰이해… 보이콧"환경부가 '경인아라뱃길 기능재정립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러나 공론화위원회 위원 구성에 인천 사람이 적어 인천의 이해관계를 담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환경부는 10일 서울 한강홍수통제소에서 경인아라뱃길 기능재정립 공론화위원회 위원을 위촉하고 제1차 회의를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15명의 위원들이 각 분야별로 위촉됐으며 아라뱃길의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앞으로의 운영 계획을 논의했다.공론화위원회 구성은 올해 3월 국토교통부 관행혁신위원회의 1차 개선 권고안에 따른 후속 조치다. 당시 국토부는 아라뱃길 기능 재정립을 위해 전문가와 시민대표, 지자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공론화 기구 구성을 권고했다.그러나 위촉된 위원 중 인천 몫은 3명이다. 환경부는 물·환경·생태 분야 5명, 거버넌스 분야 4명, 물류 분야 3명, 관광·레저 분야 3명 등 15명을 위원으로 위촉했다. 인천에서는 조강희 인천환경운동연합 공동 대표, 물류 분야에 안승범 인천대학교 교수, 관광·레저 분야에 최복수 인하공업전문대 교수가 위촉됐다. 나머지 위원은 국토환경연구소, 문화연대, 환경운동연합, 대학교 소속이다.장정구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 운영위원장은 "운하를 만들면서 인천지역사회를 찬반 갈등의 폭풍 속으로 몰아넣더니 이제는 기능재정립을 이유로 똑같은 시행착오를 되풀이하고 있다"며 "지방분권 확대를 이야기하는 시대에 지역을 무시하고 현장에 대한 몰이해를 계속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천 시민사회단체연대는 공론화위원회를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올해 개통 7년 차를 맞는 경인아라뱃길은 해운물류기능을 상실했다. 작년 12월 말 기준 아라뱃길 물동량 실적은 378만7천t으로 계획 대비 8.7% 수준에 머물렀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
2018-10-15 윤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