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병원·아주대병원 컨소시엄 공모 접수
차병원, 1차 공모부터 의향서 제출 ‘주목’
아주대병원도 적극적으로 물 밑 협의
26일부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심사
과천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종합의료시설 유치 사업이 성공을 향한 ‘큰 걸음’을 내딛었다.
19일 과천도시공사에 따르면, 이날 진행된 ‘막계동 특별계획구역 개발사업’ 민간사업자 재공모에 성광의료재단(차병원) 컨소시엄과 대우학원(아주대병원) 컨소시엄이 민간사업자 지정신청서 및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막계동 개발사업은 차병원과 아주대병원 컨소시엄의 경쟁 구도로 진행되게 됐는데, 오는 26일부터 진행될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심사 결과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성광의료재단은 1차 공모에서부터 사업참여의향서를 제출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 의사를 표시해 왔다. 바이오·헬스 등 관련 분야 계열사들과 ‘차병원그룹’을 구성하고 있어 첨단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이번 사업에 유력 후보로 손꼽혀왔다.
대우학원은 1차 공모와 재공모에 사업참여의향서를 직접 접수하지는 않았지만, 1차 공모때 부터 적극적으로 사업 참여 관련 협의를 진행하는 등 참여 의사를 표시하면서 유력 후보로 떠올라 왔다.
막계동 개발사업은 과천지구에 포함된 자족시설용지(10만8천333㎡)에 종합병원을 포함한 첨단·문화산업 중심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토지 매각금액만 8천926억여 원에 달한다. 종합의료기관과 건설사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게 되는데, 지난 2월까지 진행된 첫 공모는 접수에 응한 사업자가 없었다.
이에 따라 지난 4월부터 진행된 재공모는 컨소시엄 참여 건설사 조건을 ‘시공능력 상위 10위 이내’에서 ‘시공능력 상위 30위 이내’로 완화해 사업자 참여 폭을 넓혔다. 이후 진행된 사업참여의향서 접수에 성광의료재단을 비롯한 29개 기업·법인들이 참여(5월 7일자 8면 보도)해 기대를 높이기도 했다.
이번에 접수한 성광의료재단 및 대우학원 컨소시엄에는 IBK투자증권, 하나은행, 미래에셋증권, KB증권, ㈜대우건설, ㈜한화, 쌍용건설(주) 등 국내 굴지의 의료·금융·건설 관련 기업들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5-08-19
일본 복합개발 사례 과천에 적용 필요
‘과천은 도로 입체화 사업에 최적지’
도시개발 키워드 ‘입체·복합·균형·경영’
개발 가능 토지가 제한적이고 통과 교통량이 많은 과천시가 미래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입체적이고 복합적인 도시개발이 핵심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 같은 입체적·복합적 도시개발을 위해 ‘입체도시계획’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과천시의회 주최, 김진웅·윤미현 시의원 주관으로 22일 과천시민회관 소극장에서 진행된 ‘과천, 미래 도시개발 방향과 전략 정책 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은 다양한 해외·국내 사례들을 제시하며 과천에서 입체·복합 도시개발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윤미현 의원은 일본 도쿄를 직접 방문해 살펴본 도심 복합개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과천의 상황과 연결해 벤치마킹 필요성을 역설했다.
윤 의원은 먼저 민관복합으로 조성된 토시마 에코뮤지타운(토시마 구청)을 소개하며 “과천시 신청사 문제는 물론 중앙동 일대 복합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라고 밝혔다. 이어 대규모 복합개발 프로젝트로 완성된 ‘토라노몬 힐스’를 소개하면서 “오피스·주거·상업·문화시설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대표적 복합개발 사례이자, 빌딩 하부에 순환도로를 관통시켜 교통문제를 해소한 획기적인 입체개발 사례”라며 “도심 복합개발은 물론, 과천대로 지하화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태옥 과천미래100년자문위원회 위원은 과천시 도시개발의 핵심 의제로 떠오른 ‘과천대로 입체개발 계획’과 관련해 다양한 해외사례를 소개하고 개발방향을 제시해 눈길을 모았다. 이 의원은 “수도권에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하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데, 도시를 관통하는 국도·지방도 입체화(지하화) 사업을 추진할 경우 과천은 첫 손꼽히는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토론에 나선 홍찬표 과천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은 과천시 미래 도시개발의 4대 키워드로 입체화, 복합화, 균형화, 경영화를 제시했다. 홍 의원은 특히 “이 같은 입체화·복합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입체도시계획’을 법제화 해 용도를 중복 지정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의 좌장을 맡은 김진웅 의원은 과천시 신도시 토지이용계획의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해 눈길을 모았다. 특히, 김 의원은 “정책이나 법률은 시행 후 발생한 문제들을 수정할 방법이 있지만, 도시계획은 시행후 되돌릴 수 없어 처음부터 신중하게 수립돼야 한다”면서 “과천의 미래와 시민들의 행복을 중심으로 현재 진행중인 신도시 및 정비구역의 도시계획을 면밀히 살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7-22
이달 남양주 왕숙 2177가구 예정
8월 의정부 우정·과천 주암지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하반기에 3기 신도시를 포함,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에 무주택 서민을 위한 분양주택 1만6천가구를 공급한다.
21일 LH에 따르면 남양주 왕숙지구와 과천 주암지구 등에서 입주자를 모집한다.
먼저 7월에는 남양주 왕숙에 공공분양(A1·B1·B2블록) 1천776가구, 신혼희망타운(A2블록) 401가구 등 총 2천177가구가 나온다.
남양주 진접2지구에는 신혼희망타운(A4블록) 255가구, 공공분양(A1블록) 920가구 등 1천175가구가, 구리갈매역세권 지구에는 신혼희망타운(A1블록) 1천182가구 등이 공급된다.
화성동탄2지구(C14블록) 538가구에는 6년 분양전환 공공임대 610가구가 최초로 공급될 계획이다.
8월에는 의정부 우정지구에 공공분양(A1블록) 538가구, 과천 주암지구에 신혼희망타운(C2블록) 686가구가 분양된다.
9월에는 강원 원주무실지구 공공분양(A-2블록) 295가구와 더불어 남양주 진접2지구(A-7블록), 울산태화강변 지구(A-2블록)에 각각 405가구와 277가구의 공공분양주택이 분양된다. 시흥 하중지구(A4블록)에 신혼희망타운 390가구 공급도 예정돼 있다.
4분기에는 김포 고촌, 과천 주암 등 전국 주요 지구에 8천200가구 분양주택 공급이 예정됐다.
10월에는 대전 대동2(1블록·공공분양) 1천130가구, 청주 지북(B1블록·공공분양) 757가구, 김해 진례(C-1블록·공공분양) 387가구 등 2천274가구가 공급된다.
11월에는 남양주 왕숙(B-17블록·공공분양) 499가구, 군포 대야미(A2블록·신혼희마타운) 1천3가구, 남양주 왕숙(A-14블록·신혼희망타운) 393가구 등 1천895가구가 분양된다.
12월에는 김포 고촌2(A1블록·공공분양) 262가구, 과천 주암(C1블록·공공분양·신혼희망타운) 932가구 등 4천9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2025-07-21
정부, 사업자대출 포함 집중 점검
정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부동산 대출 규제를 회피하기 위해 사업자대출금을 주택 거래에 활용하거나 이른바 ‘부모 찬스’로 고가주택을 편법 증여 받는 사례가 나타나는지 등을 집중 점검한다.
금융위원회는 3일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가계부채 관리 강화 이행 상황과 불법·이상거래 점검 방안을 논의했다.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국세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서울시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제2금융권 협회, 5대 시중은행 등도 참석했다.
앞서 정부는 수도권 주택 구입 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을 제한하고, 수도권 다주택자의 주담대는 전면 금지하는 내용 등이 담긴 대출 규제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감원은 금융권과 함께 사업자대출의 용도 외 사용 점검을 대폭 강화하고, 불법 행위 적발 시 해당 대출금을 즉시 회수하기로 했다. 아울러 1차 적발 시 1년, 2차 적발 시 5년간 신규 대출도 금지한다.
국세청은 자금조달계획서를 활용해 고가주택의 자금 출처를 정밀 분석하고 세금 신고가 적정하게 이뤄졌는지 검증한다. 국토부는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와의 실거래 분석을 통해 편법 증여, 자금 출처 의심 사례, 허위 계약 신고, 업·다운 계약을 확인한다.
/연합뉴스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