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에서 승객들이 잠시 숙소로 사용할 수 있는 '캡슐호텔'이 문을 열었다.인천공항공사는 지난 20일 인천공항 교통센터 1층에 캡슐호텔인 '다락 휴(休)'를 일반인에게 개방했다.'다락 휴(休)'는 심야·새벽 시간대 운항 확대에 따라 장시간 대기 여객들의 편의 증진을 위해 개발됐다.인천공항 교통센터 상업시설 운영사업자인 CJ푸드빌과 호텔전문 경영사인 워커힐호텔(SK네트웍스 워커힐)이 약 40억 원을 투자해 조성했다. 일본 및 유럽공항에 설치된 유사 캡슐호텔을 연구, 인천공항의 특성과 여객 수요를 고려해 제작했다고 한다.객실은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 1층 동편과 서편에 각 30개실, 총 60개실이 운영된다.객실 형태는 싱글베드+샤워 타입, 더블베드+샤워 타입, 싱글베드 타입, 더블베드 타입 등 4가지이다. 이용료는 최초 3시간까지는 객실 타입 별로 시간당 7천원~1만1천원(VAT별도, 최소 3시간 이상 이용)이며, 이후에는 시간당 4천원이 추가된다.각 객실에는 고급 매트리스와 침구를 놓아 편안히 휴식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개별 냉난방 시스템과 소음차단 시스템, 고감도 무선인터넷, 블루투스 스피커를 갖췄다.특히 도서관 수준의 정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소음을 40db 이하로 만들었다.예약과 체크인·아웃, 조명, 온도 조절 등 모든 과정을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차흥빈기자 sky@kyeongin.com인천공항에 항공기 탑승 장기 대기자에게 잠시 쉴 수 있는 캡슐호텔이 20일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인천공항공사 제공
2017-01-22 차흥빈
지난해 인천에서 연안여객선을 이용한 승객이 전년도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인천지방해양수산청(청장·임현철)은 2016년도 인천 연안여객선 이용객이 136만3천853명을 기록했으며, 전년도(137만5천366명)보다 감소했다고 22일 밝혔다.인천해수청은 삼목~장봉항로 이용객이 전년 대비 20% 이상 크게 줄었으나, 삼목~장봉항로를 제외한 수송실적은 전년대비 4%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삼목~장봉 항로는 2015년 6월 세종해운이 여객선 면허를 반납한 것이 이용객 감소로 나타났다고 인천해수청은 설명했다.항로별로는 대부~덕적(19%), 인천~백령(9%), 하리~서검(8%), 인천~이작(7%), 인천~연평(3%), 외포~주문(1%) 등 6개 항로에서 이용객이 증가했으며, 인천~덕적(3%↓), 대부~이작(2%↓), 삼목~장봉(26%↓), 인천~풍·육도(4%↓), 진리~울도(8%↓) 등 5개 항로에선 이용객이 감소했다.인천해수청 관계자는 "향후 인천~제주항로 등이 재개되면 여객선 이용객 수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설 연휴를 맞아 많은 이용객이 연안 여객선을 찾을 수 있도록 여객서비스 향상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2017-01-22 정운
국토부 주요정책 추진계획 포함中·아랍에미리트 공항확장 맞서서남아~북미등 '신규 노선' 확충항공운송사 터미널 신·증축 지원국토교통부가 올해 인천국제공항의 허브 역량강화를 위한 각종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인천국제공항이 중국과 홍콩, 아랍에미리트 등 세계 주요 공항과의 허브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차원이다. 국토교통부는 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7년 주요 정책 추진계획'을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보고했다.국토부는 인천공항 허브역량 강화를 위해 신규노선 확충에 주력할 계획이다. 기존 주요 환승 축인 동남아~북미, 중국~북미 노선의 경쟁 심화에 적극 대응하고 서남아~북미, 서남아~ 일본, 중국~오세아니아 등 새로운 환승 축 개척 작업에 나설 방침이다. 항공회담, 공항 간 MOU 등을 통해 신규 수요를 적극 발굴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공항 사용료 체계도 개편한다.또 32만㎡ 규모의 인천공항 3단계 물류단지를 조성하고 페덱스·DHL 등 글로벌 항공운송사의 터미널 신·증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인천공항 항공물류 경쟁력 강화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국토부는 인천공항에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여객서비스 개선 종합계획 '에어포트 4.0'을 하반기 수립해 추진하고, 수하물 수속시간 단축을 위한 '환적수하물 검색 면제' 제도를 확대하는 등 여객 편의를 높인다. 올 4월 문을 여는 영종도 파라다이스 시티 복합리조트 등과 연계한 환승 관광상품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국토부 관계자는 "중국·아랍에미리트 등의 공항 확장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대표 공항인 인천공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며 "인천공항 허브역량 강화를 위한 이들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한편 국토부는 상반기 중 인천발 KTX 추진을 위한 설계에 착수하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송도~청량리)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시행하겠다고 했다. 또 백령도 신공항 수요조사, 서울외곽선 계양~노오지 구간 갓길 차로 설치, 공항 주변지역 전기료 지원대상 확대, 해안권에 숙박시설 등이 들어설 수 있도록 하는 해양관광진흥지구 도입 등 인천지역 연관 사업을 올해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
2017-01-05 이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