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LCC(저비용항공사)가 최근 일본 운항 노선을 확대했다.제주항공은 지난 2일 인천~일본 마쓰야마 노선에 신규 취항했다고 밝혔다. 제주항공은 이번 신규 취항에 따라 일본 도쿄, 오사카, 혼슈, 규슈, 홋카이도, 오키나와에 이어 7번째 일본 정기노선을 개설하게 됐다. 인천~마쓰야마 노선은 목·일요일에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오전 10시 40분 출발해 마쓰야마에 낮 12시 도착하고, 마쓰야마에서는 낮 12시 50분에 출발해 오후 2시 25분 인천에 도착한다. 화요일에는 인천에서 오전 11시 10분 출발해 마쓰야마에 낮 12시 40분에 도착하고, 마쓰야마에서는 오후 1시 30분에 출발해 인천에 오후 3시 25분 도착한다.이스타항공은 지난 1일 인천~일본 가고시마 노선에 새롭게 취항했다. 이스타항공은 기존에 인천과 일본 도쿄, 오사카, 오키나와, 후쿠오카, 삿포로를 연결하는 노선과 부산~오사카 등에 이어 7번째 일본 노선을 운항하게 됐다. 이스타항공의 인천~가고시마 노선은 11월1일부터 12월20일까지 주 3회(수·금·일), 12월21일부터 2018년 2월28일까지는 주 7회(매일), 2018년 3월1일부터 3월24일까지는 주 3회(수·금·일) 운항한다. 인천에서 오후 2시 45분 출발해 가고시마에 오후 4시 35분에 도착한다. 귀국편은 오후 5시 30분 가고시마 출발, 오후 7시 35분 인천 도착이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017-11-05 홍현기
인천항만공사는 정규직 신입 직원 19명을 공개 채용한다고 5일 밝혔다. 분야별 채용 인원은 사무행정 4명, 국제무역(베트남어) 1명, 선박관리 1명, 세무 2명, 전산(정보통신) 1명, 환경관리 1명, 건축 2명, 토목 1명, 시설(기계) 2명 등이다. 이번 채용은 학력, 전공, 나이(만 60세 미만)에 제한이 없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지원서 접수는 오는 18일 오후 6까지이며, 이후 전형 일정은 채용 전용 홈페이지(pa.incruit.com)와 지원자 이메일로 통지한다. 자세한 내용은 인천항만공사 홈페이지(www.icpa.or.kr)와 채용 전용 홈페이지, 고용노동부 워크넷 (www.work.go.kr),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 시스템 알리오(www.alio.g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2017-11-05 김주엽
다가오는 동계시즌에 우리 공항을 오가는 항공기 운항횟수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국토교통부는 국내외 항공사가 신청한 동계기간(2017년 10월29일~2018년 3월24일) 국제선과 국내선 정기편 항공운항 스케줄을 인가했다고 29일 밝혔다.이번 동계기간에 국제선의 경우 90개 항공사가 총 31개 노선에 왕복 주 4천418회 운항할 계획이다. 이 같은 운항횟수는 전년 동계기간에 비해 주 102회, 2.36% 증가한 수준이다. 동계시즌 가장 높은 운항횟수 비중을 차지한 국가는 일본으로, 주 1천87회(전체의 약 24.6%) 운항을 예고했다. 그 뒤를 중국 주 1천51회(23.8%), 미국 주 459회(10.4%), 베트남 주 344회(7.8%), 홍콩 주 275회(6.2%), 필리핀 주 255회(5.8%) 등이 이었다.국토부 관계자는 "전년에 비해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일본이었고, 중국은 (사드 보복 등에 따른 여파로) 운항횟수가 감소했지만 일본, 베트남, 필리핀 등의 운항횟수가 증가하면서 전체 운항횟수는 증가했다"고 설명했다.올해도 예년과 같이 국적 저비용항공사(LCC)의 운항횟수가 대폭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LCC 운항횟수는 전년 1천22회에서 1천309회로 늘었는데, 제주항공(주 67회 증), 티웨이(주 63회 증), 에어서울(주 46회 증) 등 LCC의 일본·동남아 운항횟수 증가 및 신규취항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올해 동계기간 국내선의 경우 총 20개 노선에서 주 1천860회를 운항해 전년 동계기간 대비 운항횟수는 주 5회(0.3%, 왕복기준) 감소하지만, 대형기 대체 운항 등으로 공급석은 1만1천414석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017-10-29 홍현기
평택항 구역내 200만7000㎡ 매립전국 첫 사례… 1만여명 입주 규모내년초 사업 추진 2020년까지 완공평택호 등과 연계 관광시너지 기대평택시가 바다를 메워 항만도시를 건설한다. 항만 지형을 바꾸는 항만도시 건설은 전국 최초로 해양레저업체뿐 아니라 국내 중·대형 건설사들이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래픽 참조평택시는 24일 서해대교와 가까운 바다를 매립해 평택항 2종 항만배후단지를 건설, 그 위에 1만여명이 입주할 수 있는 규모의 항만도시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공재광 평택시장, 시의회 의원들이 평택항 종합개발과 관련한 간담회 등에서 2종 항만 배후단지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는 했지만, 이처럼 구체적인 계획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이날 시는 포승읍 신영리 일대 평택항 구역내 200만7천㎡의 바다를 매립, 오는 2020년까지 업무·판매·주거·근린생활·의료시설 등을 갖춘 항만도시를 건설키 위해 최근 용역(공모 지침 등)을 마무리했다고 공개했다. 이를 위해 시는 용역결과를 해양수산부와 협의 중이며 협의결과에 따라 기관, 민간이 참여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한 뒤 시행사를 선정해 내년 초에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항만도시는 평택시가 개발하는 도로·공원·주차장 등 기반시설(50%)과 민간업체에 분양되는 주거시설(15%)을 포함한 상업·업무용지 등 항만지원시설(30%), 유통·관광숙박·자동차 클러스터(20%) 등으로 조성된다. 매립 토지는 인근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가격을 산정한다.육·해·공군과 주한미군이 참여하는 평화공원을 조성, 견학 및 관광코스로 활용할 계획이며 3천여 세대가 입주하는 공동 주택을 건설해 초등학교 1곳을 신설할 계획도 수립 중이다.특히 항만도시 건설은 인근 중국성 개발(황해경제청 주도), 평택호 관광단지 등과 함께 서해안 관광벨트를 조성하게 돼 해양관광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전망이다.이에 따라 해양레저 및 국내 관광업체, 중·대형 건설사들이 관심을 보이는 가운데, 이미 중·대형 건설사 5~6곳이 평택시에 내용 파악은 물론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히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시 관계자는 "항만법에 의해 전국 처음으로 건설되는 항만도시는 평택항뿐 아니라 평택지역 전체에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며 "평택항의 특성을 잘 살려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제공/평택시
2017-10-24 김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