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7개 항공사를 추가 배치한 이후 터미널을 잘못 찾아가는 여객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오도착' 방지 대책을 시행할 것이라고 5일 밝혔다.인천공항공사 등에 따르면 동계스케줄이 시작하는 10월 말부터 인천공항 제2터미널에 아에로멕시코, 알리탈리아항공, 중화항공, 가루다인도네시아항공, 체코항공, 중국하문항공, 아에로플로트러시아항공 등 7개 항공사가 추가로 배치된다. 올해 1월 18일 개장한 제2터미널에는 대한항공, 델타항공, 에어프랑스, KLM네덜란드항공 등 4개 항공사가 둥지를 틀었는데, 앞으로 제2터미널 취항항공사가 총 11개로 늘어나는 것이다. 11개사는 모두 항공동맹체 '스카이팀(Skyteam)' 소속이다. 7개 항공사가 제2터미널에서 제1터미널로 이전하면, 오도착 여객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 제2터미널로 가야 하는데 제1터미널로 잘못 찾아가는 여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인천공항공사가 올 1월 18일 제2터미널 개장 전후로 터미널별 취항 항공사를 대대적으로 홍보한 덕분에, 인천공항 이용객 대부분은 제2터미널에 4개 항공사만 취항한 것으로 알고 있다. 현재 인천공항 제1·2터미널로 가는 길에는 제2터미널 취항항공사가 4개라는 표지판이 줄지어 서 있기도 하다. 제2터미널 추가 취항항공사 이용 여객이 혼선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인천공항공사는 기존 제 2터미널에 취항한 4개 항공사와 환승 및 코드쉐어(항공사 공동운항)가 활발한 스카이팀 소속 항공사를 추가 이전 대상으로 선정했지만, 여전히 제1터미널에 스카이팀 소속 중국 동방항공·남방항공·상하이항공·베트남항공 등이 남아 있어 여객이 이용 터미널을 헷갈릴 수 있다.인천공항공사는 제2터미널 개장 때 이용했던 다양한 방식으로 오도착 여객 발생을 막을 계획이다. 우선 E-티켓과 문자메시지를 통해 항공사별 터미널 안내를 강화한다. 또 언론, 광고매체, SNS 등 대내외 홍보 수단을 총동원해 항공사 추가 배치에 대해 알린다. 탑승일 하루 전 사전 문자 공지 등도 추진한다.인천공항공사는 공항철도, 공항버스, 자가용, 택시 등을 통해서도 대대적인 안내를 펼친다. 터미널 내에서도 게시판·디지털매체·안내방송 등을 활용해 항공사별 터미널 안내를 강화하고, 출국장과 교통센터 등에 안내 인력을 배치할 계획이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018-08-05 홍현기
대한항공 빠지고 아시아나 라운지T2 호응 체크인·백드롭기기 확대보안검색 생체정보·인공지능 활용1층에 미디어월 '갤러리' 조성도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동편에 새롭게 단장한 체크인 카운터와 항공사 라운지로 아시아나항공이 오는 10월 이전한다. 2022년까지는 제1터미널을 대상으로 추가 항공사 재배치, 스마트 서비스 확대, 여객 편의시설 확충 등 대대적인 시설 개선이 추진된다.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이 같은 내용의 인천공항 제1터미널 리노베이션을 진행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인천공항공사는 대한항공이 빠져나간 인천공항 동편 체크인 카운터 등에 대해서는 이미 시설 개선 공사를 진행 중이다. A, B 체크인 카운터 사용을 중단하고, 지난 4월에는 이곳에 시설 개선 공사를 위해 대형 가림막을 설치했다. 인천공항공사는 A카운터를 아시아나항공의 프리미엄 체크인 전용 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 대한항공이 제2여객터미널에서 일등석 승객 등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프리미엄 체크인 존(Zone)과 비슷한 수준의 공간을 제1터미널에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제1터미널 동편에 있던 대한항공 라운지에 새로운 라운지를 조성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여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첨단 기기도 늘어난다. 제2터미널에 설치돼 호응을 얻었던 원형검색대가 제1터미널에 도입된다. 셀프 체크인 기기(108대→128대), 셀프 백드롭 기기(14대→42대) 등이 확대 설치된다. 자동출국심사대와 입국심사대도 각각 기존 36대에서 48대로 늘어날 전망이다.인천공항공사는 ▲스마트패스(생체 정보가 탑승권, 여권 등 종이 서류를 대체) ▲빅데이터 활용 출국장 혼잡 안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안검색 등 스마트공항 서비스를 제1터미널에 도입할 계획이다.입국장에 있는 6개(A~F) 출구는 시설 개선을 거쳐 4개로 통합된다. 공사 관계자는 "출구가 4개로 통합되면 입국 여객과 환영객들이 1층 환영홀에서 보다 쉽게 만날 수 있다"며 "유휴 공간도 생기는데, 이곳에는 교통약자 서비스센터, 공항 상주직원 휴식 공간을 추가로 조성하겠다. 패밀리 센터, 어린이 놀이시설, 유아 휴게실 등 가족 친화 시설도 늘려나갈 것"이라고 했다.인천공항공사는 제1터미널 곳곳에 국내외 작가들의 대형 미술작품을 설치하고, 1층 밀레니엄홀에는 미디어 월(Media Wall)을 조성해 '갤러리' 같은 공항을 구현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2022년까지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 대한 대대적인 시설 개선이 추진된다. 사진은 제1터미널 입국장(투시도).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2018-07-29 홍현기
3만·5만t급 선석 추가 B/C 2.09 인천항만公 사업타당성 용역 결과인천항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조성 사업이 경제적 타당성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항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확장사업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조성의 편익비용(B/C)이 2.09로 나와 경제성을 입증받았다고 22일 밝혔다.B/C값이 기준치인 1을 넘으면 비용보다 편익이 더 크다는 뜻으로, 경제성이 있음을 말한다. 용역 결과를 보면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사업 조성·운영(30년)에는 2천767억원의 비용이 들어가지만, 편익은 4천718억원일 것으로 분석됐다.인천항 신국제여객부두 3단계 사업은 내년 개장 예정인 신국제여객부두에 5만t급과 3만t급 카페리 선석을 추가로 만드는 것이다. 현재 공사 중인 신국제여객부두는 크루즈 전용 선석(22만5천t급) 1개와 카페리 선석(3만t급) 5개, 크루즈·카페리 겸용 선석(15만t급 크루즈, 5만·3만t급 카페리) 1개로 조성될 예정이다. 앞으로 크루즈 기항 횟수가 늘어나면 겸용 선석을 크루즈 전용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카페리 선석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게 인천항만공사 설명이다.용역 보고서는 2025년 인천항을 찾는 크루즈선은 217척이고, 크루즈 방문객은 56만5천297명 달해 카페리 선석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지난해 인천항을 찾은 크루즈선은 17척, 관광객 수는 3만명에 그쳤다. 하지만 2014년 아시안게임 개최를 전후해서는 2013년 95척(관광객 17만2천400명), 2014년 92척(18만3천900명)이 기항한 바 있다.인천항만공사는 크루즈선 입항 실적 증가 추이에 따라 사업 기간을 정하고,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방침이다.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한중 갈등으로 인천항에 기항하는 크루즈 수가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지만, 신국제여객부두가 개장하는 2019년에는 100여 척의 크루즈가 이곳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2018-07-22 김주엽
스카이트랙스 평가 공항 2위 불구대한항공 33위·아시아나 24위 그쳐 갑질 등 역주행… 국내업체 '무관''2등 공항, 33등 항공사'.공항·항공 분야 평가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스카이트랙스(SKYTRAX)가 최근 발표한 'The World's Best Airlines 2018'(2018 세계 최고 항공사상)에서 제1국적항공사 대한항공이 33위를 했다. 제2 국적항공사 아시아나항공은 24위였다. 지난해 20위에 올랐던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네 계단 떨어졌고, 대한항공은 34위에서 한 계단 올라갔다.반면, 인천국제공항은 올해 3월 스카이트랙스가 발표한 'The 2018 World Airport Awards'(2018 세계 공항상)에서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이어 2위를 했다. 양대 국적항공사가 인천공항에 걸맞은 평가를 받지 못한 것이다. 인천공항은 세계 최고 공항 직원 서비스 분야에서 전 세계 1위, 깨끗한 공항 분야는 3위, 식음료 경험 분야에서는 3위에 오른 바 있다.이번 세계 최고 항공사 평가에서 한국 항공사와 경쟁 관계에 있는 아시아지역 항공사 9곳은 10위권에 들었다. 1위 싱가포르항공, 2위 카타르항공, 3위 전일본공수, 4위 에미레이트(UAE), 5위가 에바항공(대만)이었다. 6~10위 중에서도 7위 루프트한자(독일)를 제외하곤 모두 아시아 항공사였다. 한국 항공사는 지역별 최고항공사, 최고 저비용항공사(LCC), 최고 기내식, 최고 좌석, 최고 라운지, 최고 직원 서비스 등 어떤 분야에서도 상을 받지 못했다. 싱가포르항공은 최고 일등석 등 9개 분야에서 수상했다.이 때문에 국내 항공업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대한항공은 총수 일가의 갑질 논란으로 비난을 받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기내식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항공편을 운항하는 '노밀(No Meal)' 사태가 이달 초 발생했고, 최근에는 항공기 3대에서 연달아 기체 결함이 발생하면서 15일부터 5일째 길게는 12시간 이상 항공편 운항이 지연되기도 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세계 최고 공항에 걸맞은 국적항공사가 있어야 동반 상승하는 효과가 있을 텐데, 요즘 한국 양대 국적항공사의 행태를 지켜보면 안타깝다"고 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018-07-19 홍현기
7개 국적항공 '셀프체크인' 가능안내로봇 등 편리한 서비스 제공올해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로 떠나는 여객은 지난해보다 편리해진 공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해 여름 성수기부터는 인천공항에서 7개 국적항공사가 모두 셀프체크인 서비스를 제공한다.기존에 셀프체크인 서비스를 제공하던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서울에 이어 진에어 이용 여객도 셀프체크인 이용이 가능해졌다.이에 따라 이들 항공사와 캐세이퍼시픽, 중국국제항공, 중국남방항공 등 외국항공사를 이용하는 여객은 체크인카운터에서 줄을 설 필요 없이 공항에 있는 키오스크(kiosk)를 통해 탑승권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일부 항공사 여객은 회사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집에서도 체크인 수속을 할 수 있다. 여객이 직접 짐을 부치는 셀프백드롭 서비스도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에어서울 등 6개 항공사 여객이 이용할 수 있다.올해부터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공사도 있다. 최근 제주항공은 항공권 예매 시 항공기 탑승 24시간 전에 모바일로 좌석 배정까지 이뤄진 탑승권을 자동으로 발급해주는 '자동탑승수속'(괌·사이판 노선 제외) 서비스를 시작했다. 국적항공사 가운데 처음이다.지방에서 거주하거나 출발하는 여객은 올 1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에서 미리 체크인과 수하물 위탁까지 완료한 뒤 인천공항행 리무진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도심공항터미널 이용 여객은 인천공항에서 전용 패스트트랙을 통해 신속하게 출국 절차를 밟을 수 있다.또한 올 하계 성수기부터는 인천공항에 배치된 안내로봇으로부터 공항시설 위치와 이용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하계 성수기부터 제1·2여객터미널에 2세대 안내로봇 '에어스타'를 각각 8대, 6대 투입한다.인천공항공사는 많은 여객이 몰리는 여름 성수기를 맞아 주차 공간 추가 확보, 체크인카운터 및 출국장 조기 운영, 안내인력 추가 배치 등도 추진한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018-07-16 홍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