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 전체 항공여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 성수기 해외여행 수요 증가에 따른 저비용항공사(LCC)들의 좌석 공급 확대가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7월 항공여객이 지난해 동기 대비 6.2% 증가한 995만 명을 기록했다.국제선 여객은 730만 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11.0% 증가한 수치다. 여름방학 등 여름 성수기를 맞아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면서 LCC들이 공급석을 20.7% 늘린 영향이 크다.지역별로는 중국이 27.3%로 가장 많았고 유럽(12.5%), 동남아(9.8%), 일본(6.7%) 등 대부분 노선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공항별로는 정기노선 증편과 노선 다변화 등의 영향으로 무안(270.5%), 청주(128.8%), 양양(83.1%), 제주(77.8%) 등 전 공항에서 성장세를 보였다.국내선 여객은 지난해 7월보다 4.9% 줄어든 265만 명을 기록했다. 공급석 감소, 탑승률 하락 등이 요인이 됐다. 공항별로는 울산(54.0%)과 인천(4.6%)의 여객이 증가했지만 청주(-10.6%), 김포(-6.4%), 김해(-5.9%), 제주(-5.7%) 등은 감소했다.7월 항공화물은 지난해보다 3.6% 증가한 37만t을 기록했다. 국내 화물은 7.5% 감소하고, 국제 화물이 4.4% 증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내 여객 감소와 유류할증료 인상 등 부정적인 요인이 있지만, 여름 성수기에 따른 노선 다변화와 해외여행 수요 증가 등으로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
2018-09-02 이현준
6~7일 제1회 항공산업 취업박람회내년 상주업체 참여… 2회로 확대항공산업 분야 구직자를 위한 취업박람회가 열린다.인천국제공항공사는 6일부터 7일까지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교통센터에서 '제1회 항공산업 취업박람회'가 열린다고 2일 밝혔다.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인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항공협회가 주관하는 이번 취업박람회엔 양 공항공사를 비롯한 항공사 등 국내외 56개 항공 관련 기업과 공공기관, 연구기관들이 참여해 채용 설명과 현장 채용을 진행한다.취업박람회에 참가한 항공사 등 업체의 하반기 채용 규모는 1천명 규모로 이에 대한 채용 설명회가 진행된다. 현장 채용은 지상조업사 등을 중심으로 100여 명 규모라고 공항공사는 설명했다. 항공사와 항공기 제작사, 지상조업사, 공항공사 등 항공산업 분야 구직 희망자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스마트항공 전시관, 항공사 승무원 취업 특강, 해외 취업 설명회, 캘리그라피 체험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마련된다.인천공항공사는 이번 취업박람회를 시작으로 좋은 일자리 창출에 본격 시동을 걸 방침이다. 우선 취업박람회 개막일인 6일 '항공일자리 취업지원센터'를 제1터미널 4층에 열고 항공일자리 채용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국내 최대 취업포털과 연계해 9월 중 '인천공항 온라인 전용 채용관'을 열어 항공사, 지상조업사, 상업시설, 물류업체 등 기업별 채용 공고를 실시간 제공할 계획이다.이외에 인천공항 상주 업체가 참여하는 맞춤형 채용박람회를 내년 상반기부터 연 2회 개최하고, 인천공항 4단계 확장사업과 공항복합도시 개발 등을 통해 2022년까지 양질의 일자리 5만 개를 추가 창출할 계획이다.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이번 취업박람회를 시작으로 인천공항만의 일자리 창출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대한민국 대표 좋은 일자리 1번지로 거듭나겠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
2018-09-02 이현준
항만공사 "내달출범" 중구에 제안주민 갈등 관련 면밀히 검토 예정인천항만공사가 인천 중구에 항만 관련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해 인천 중구 지역 항만 관련 현안이 해결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인천항만공사는 다음 달 출범을 목표로 인천 중구와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협의체를 통해 주민과 갈등을 빚는 여러 현안에 대해 중구와 논의하겠다는 게 인천항만공사의 생각이다.인천항만공사는 인천 남항 배후단지(중구 항동 7가 82-7 일원 39만6천㎡)에 중고차 물류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는 중고차 판매·경매장, 검사장, 정비장, 자원재생센터, 주차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그러나 주민들과 중구는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로 교통난과 환경 피해가 심각해질 것으로 반발하면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인천항만공사가 추진하는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도 주민들과 이견이 있다. 내항 1·8부두 내 폐창고를 문화 혁신공간으로 조성하는 '상상플랫폼' 사업의 운영사업자로 지난달 CJ CGV가 선정됐는데, 지역 시민단체는 "대기업이 상업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올바른 도시재생사업이 아니고 내항 재개발 전체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인천항만공사는 앞으로 협의체 회의를 정례화시켜 현재 갈등을 빚고 있는 사안은 물론 인천항과 중구 지역 발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만들 계획이다.일각에서는 현안 대부분이 주민의견이 엇갈리는 사안인 만큼, 중구와 협의체만으론 역부족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미 인천항 현안 논의를 위해 인천시, 인천항만공사,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만든 '인천항 고위정책협의회'가 운영되고 있지만, 현안 해결이 아닌 기관별 입장만 확인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중구도 인천항만공사의 제안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구 관계자는 "협의체 구성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도 있겠지만, 주민 현안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2018-08-26 김주엽
공항공사, 3.5단계 배치계획 세워제4활주로 건설 2023년까지 유지인천국제공항공사가 제2여객터미널을 확장하고 제4활주로를 건설하는 인천공항 4단계 구축사업이 종료되는 2023년까지 유지될 '항공사 배치계획'을 마련했다.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3.5단계 항공사 배치계획'을 수립해 항공사 등에 전달했다고 16일 밝혔다.인천공항공사 3.5단계 항공사 배치계획은 제1여객터미널, 탑승동, 제2여객터미널에 각각 항공동맹체별로 항공사를 배치하는 것이 뼈대다. 인천공항 제1터미널 동쪽에 아시아나항공이 배치되고, 바로 옆으로 아시아나항공이 속한 항공동맹체인 '스타얼라이언스(STAR Alliance)' 소속 항공사들이 들어온다. 인천공항에 취항한 스타얼라이언스 소속 항공사로는 에어캐나다, 에어인디아, 에바항공, 중국국제항공 등 13개가 있다.제1터미널 서편에는 또 다른 항공동맹체인 '원월드(ONE WORLD)'에 소속된 아메리칸항공, 핀에어, 영국항공, 케세이퍼시픽항공 등 7개 항공사가 둥지를 튼다. 제1터미널 서쪽으로는 어떤 항공동맹체에도 소속되지 않은 '논 에어라인즈(None Airlines)' 항공사 19개도 들어간다. 저비용항공사(LCC) 일부도 서편에 배치된다.제2터미널은 당분간 항공동맹체 스카이팀(SKY Team) 전용 터미널로 운영된다. 제2터미널 서편에 대한항공이, 나머지 구역에는 에어프랑스, KLM네덜란드항공, 델타항공, 중화항공 등 10개 스카이팀 항공사가 배치된다. 제2터미널에 가지 못한 스카이팀 소속 항공사인 중국남방항공, 동방항공, 베트남항공 등은 탑승동에 둥지를 틀게 됐다. 탑승동에는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등 저비용항공사 14개도 배치된다.인천공항공사는 신규 항공사가 취항하는 경우에도 이 같은 항공사 배치 원칙을 지킨다는 방침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제2터미널을 확장하는 4단계 사업이 완료되면, 새로운 항공사 배치계획을 수립·적용할 계획이다. 현재 인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4단계 사업에 따른 항공사 재배치계획을 확정하기 위해 한국항공대 산학협력단을 통해 '항공사 배치기준 수립 및 최적배치안 도출 용역'을 진행 중이다. 용역 결과는 올해 말에 나와 인천공항 4단계 사업 관련 실시설계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018-08-16 홍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