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과 평택항 등 서해 중북부 주요 항만의 항로 정보를 담은 '해도'와 '연안항로지'가 최신 정보로 개정된다.국립해양조사원 서해해양조사사무소는 서해 중북부 12개 항만과 주변 항로를 대상으로 연안항로조사를 실시한다고 19일 밝혔다. 조사기간은 이날부터 다음달 20일까지다.조사 대상은 무역항 4개(평택항, 당진항, 인천항, 경인항), 연안항 2개(연평도항, 백령도 용기포항), 국가어항 3개(당진 장고항, 화성 궁평항, 덕적 울도항), 어류정항 3개(대청도 선진포항, 덕적도항, 소래포구)다.선박안전법에 따라 모든 항해 선박은 바다의 지도인 '해도'와 세세한 항로 정보가 표시된 '연안항로지'를 반드시 비치해야 한다. 선박도 정해진 항로로만 다녀야 하지만 육안으로는 수심과 암초와 같은 해상 정보가 확인되지 않아 해도 등이 일종의 '내비게이션' 역할을 한다.국립해양조사원은 항로위험물과 주요 항만의 인공 해안선, 부두 축조공사 현황 등이 변하는 점을 고려해 3년 주기로 연안항로조사를 실시해 해도와 연안항로지를 개정하고 있다. 올해 조사에서는 국가어항이었던 장봉항이 해제됐고, 소래포구가 어류정항으로 신규 지정된 내용이 반영된다.국립해양조사원 관계자는 "서해 중북부 항만에 대한 변동사항을 면밀하게 조사해 선박의 안전항해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2018-03-19 김민재
올 소사~원시전철·김포도시철 운행내년이후 15개 노선 개통착공 예정수도권 주민 교통편의 '향상' 분석경기도 철도망 확충 계획에 따라, 올해만 '소사~원시 복선전철' 및 '김포도시철도'의 개통이 예정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내년 이후 개통되거나 추진이 예정돼 있는 노선도 모두 15개 노선 43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표 참조철도망 확충과 관련, 경기도와 서울시간 갈등도 일부 있지만 수도권 주민들의 교통 편의는 향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18일 경기도의 '민선 6기 철도 개통 현황 및 향후계획' 등에 따르면 남경필 지사의 민선 6기 이후, 도내에서 개통된 노선은 모두 4개다. '포승~평택 단선철도'는 지난 2015년 개통됐고, 2016년에는 '신분당선 연장(정자~광교)', '경강선(성남~여주)', '수서고속철도(SRT·수서~평택)' 등이 잇따라 개통됐다.올해도 2건의 개통이 예정돼 있다. 6월 개통예정인 '소사~원시 복선전철'은 총 사업비 1조7천883억원 규모로 그 길이가 23.4㎞에 달한다. 매일 92회 운행될 예정이며, 해당 구간을 자동차로 운행할 때보다 60분 가량 시간을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포도시철도'(23㎞)는 11월 개통될 전망이다. 이 철도는 김포공항을 매일 440회 왕복 운행하며, 공항 이용객들의 이동 편의를 도울 전망이다.이밖에도 모두 15개 노선이 내년 이후부터 개통 및 착공 등이 예정돼 있다. 길이만 430.9㎞, 사업비는 22조9천억원이다. 우선 '수인선 복선전철', '경원선 전철화', '진접선 복선전철' 등이 내년 개통을 앞두고 있다. 이중 수원과 한양대 앞을 잇는 수인선복선전철은 현재 공정률이 87.5%에 육박해 있다.아울러 GTX 노선들도 사업이 시작됐거나 민자사업자를 모집 중이며, 수원 등 KTX 직결사업 역시 기본계획이 고시되며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계획 중인 철도사업이 모두 완료되면 도내 철도 통행 이용자가 현재 1일 274만명에서 2025년 329만명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철도망 연장과 차량기지 이전을 두고 경기도와 서울시 간의 입장 차이로 갈등이 본격화되고 있다. 사진은 (부천)원종~(서울)홍대선 광역철도 연장사업을 두고 이전 갈등을 빚고 있는 서울 양천구에 위치한 신정 차량기지.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2018-03-18 김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