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접 28만7천여㎡ 규모용인도시公, 개발 사업 추진'판교TV 연계' 복합 단지로'환지방식' 우선한 공영개발반대 토지주 입장 조율 관건1월 말 신분당선이 개통된 이후 용인도시공사(이하 공사)가 추진하는 동천지구(유통업무설비) 도시개발사업에 건설·부동산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동천역사와 접한 28만7천여㎡ 규모의 동천지구에 상업·업무시설이 가능하게 될 경우 신분당선 개통의 최대 수혜주로서 수지구 부동산 지형을 확 바꿀 대형 프로젝트가 될 것이란 기대감에서다.공사는 현 여건에 맞게 개발하기 위해서는 창고시설만 가능한 족쇄를 풀어내야 하고, 공영개발 방식으로 난개발을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하지만 공사가 추진하는 환지 또는 수용 방식의 도시개발사업 방향에 대해 해당 토지주들의 입장이 엇갈리는 것으로 전해져 사업추진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동천지구 현황 = 신분당선 동천역과 접한 동천지구는 지난 1990년 정부가 일반상업지역으로 지정했지만 도시계획시설을 유통업무설비로 제한해 창고시설만 건축이 가능하다. 28만7천여㎡ 규모로 현대택배와 진로물류, 현대그린푸드, 오리온, 그랜드백화점, 모나미 등 10여개 물류센터가 운영중에 있다. ┃위치도 참조공사는 창고시설만 가능한 동천지구의 도시계획시설 용도를 폐지하면 일반상업지역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즉 판매·업무·숙박시설과 주상복합아파트 등이 가능하고 건폐율은 80%이하, 용적률은 300% 이상 1천300%까지 허용된다.공사는 지난해 7월 동천지구 도시개발사업을 위해 용역을 발주했다. 공사가 시행해 환지 또는 수용 방식으로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개발방향은 동천역세권·판교테크노밸리와 연계한 복합단지로 개발하자는 게 주 내용이다.공사 관계자는 "26년째 창고시설로만 묶인 족쇄를 풀어 주변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용도로 개발하고, 동시에 난개발을 막기 위해서는 공사 주도의 도시개발사업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밝혔다.▲토지주 입장과 쟁점 = 공사는 1월 말과 지난달 18일 동천지구 토지소유주들을 대상으로 1·2차 설명회를 잇따라 개최했다. 공사가 구상하는 환지 방식은 토지주의 2분의 1, 전체 토지의 3분의 2 이상 동의가 필요하다.2차례 설명회에는 3분의 2가 넘는 토지주들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지만 반응은 제각각이었다.일부 토지주들은 기반시설 부담에 따른 재산권 침해를 우려하면서 반대입장을 밝혔다. 현재 잘 쓰고 있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개발이 가능해 지는데 급할 것 있느냐는 토지주도 있었다고 한다. 환지방식을 선호하는 공사에 부담스런 반응들이다.일부 토지주는 민간제안 방식으로 도시개발사업을 하겠다는 입장도 내놓고 있다.지구내에 대기업 물류센터가 운영되고 있는 것과 관련, 특혜 시비도 제기되고 있다.지가 상승을 동반하는 도시개발사업은 결국 지구내 토지를 소유한 대기업에 막대한 이익을 줄 것이란 시각에서다.▲추진 전망 = 공사는 주민설명회 내용을 반영한 용역결과가 나오면 동천지구 도시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환지방식을 우선하되 토지주들 반대로 어려울 경우 수용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지난 90년 유통업무시설로 지정됐으나 당초 계획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미집행 상태로 25년간 방치돼 왔고, 시설 변경이 어려워 인근 지역이 발전하는 동안 소외되면서 도심속 저개발 지역으로 낙후돼 더 이상 개발을 미룰 수 없다는 것이다.특히 신분당선 동천역이 개통해 역세권 개발의 잠재력이 확보됐고, 동천2지구 등 인근 지역 개발사업이 추진되는 등 여건 변화에 맞는 도심형 중심지 형성이 필요하다고 했다.공사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높은 민간 제안보다는 공사가 사업에 참여해 난개발을 방지하고 관련법에 따른 체계적 개발을 통해 지역발전을 이끌 수 있다"면서 "사업 과정에서도 수익창출보다 공익과 사익을 조화시켜 개발효과 극대화를 거두는 공기업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인/홍정표기자 jph@kyeongin.com
2016-03-01 홍정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