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당선 노선 중 올해 가장 집값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곳은 광교중앙역 주변인 것으로 나타났다.2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 9월 신분당선 인근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지난해 12월 말 대비 11.9% 상승했다. 수도권 전철 노선 중 8호선(14.15%)과 2호선(12.3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그래프 참조인근 아파트 작년말보다 18.67% ↑도청·대형쇼핑몰 등 '인프라' 원인신분당선은 수원 광교에서 성남 분당과 판교를 거쳐 서울 강남과 신사를 잇는 민자 노선이다. 경기 남부에는 광교, 광교중앙, 상현, 성복, 수지구청, 동천, 미금, 정자, 판교 등 9개역이 조성돼 있다. 서울은 신사, 논현, 신논현, 강남, 양재시민의숲, 청계산입구에서 열차가 멈춘다.역별로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수원 영통구 이의동에 조성된 광교중앙역으로 18.67%를 기록했다. 이어 상현역(18.19%), 정자역(14.12%), 동천역(14.12%), 수지구청역(13.51%) 순이었다. 경기 남부에 조성된 역 위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광교중앙역이 상승률 1위를 기록한 이유는 다양한 인프라 때문으로 보인다. 경기도청과 도의회, 도교육청 등 경기융합타운이 4번 출구 인근에 있으며 롯데아울렛 광교점, 아브뉴프랑 광교점 등 대형 쇼핑몰도 가까이에 있다. 역 주변에 주요 관공서와 쇼핑 시설이 고루 들어선 것이다.이같은 인프라는 주변 집값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집값 상승기엔 가격이 크게 오르고, 침체기엔 집값 하락을 방어해준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중론이다. 광교중앙역 1·2번 출구와 가까운 '광교자연앤힐스테이트54단지아파트(2012년 준공)'가 대표적이다. 전용 84.68㎡ 실거래가 흐름을 보면 지난해 12월 11억5천만원(30층)에 매매되다 올 5월엔 13억3천만원(32층)으로 매매가가 1억8천만원 상승했다. 그러다 지난 9월엔 14억2천만원(10층)에 손바뀜했다. 매매가가 지난해 12월 대비 23.47% 증가한 것인데, 업계에서는 조만간 전고점을 회복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업계 관계자는 "광교중앙역 일대는 서울 출·퇴근이 편하고 주변에 갤러리아 백화점, 광교호수공원 등 여가를 누릴 수 있는 곳이 많다"며 "역세권은 확실히 하락기나 침체기에도 영향을 덜 받아 문의가 꾸준하게 들어오는 단지"라고 했다./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올해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많이 오른 수도권 지하철 노선1위) 8호선 14.15%2위) 2호선 12.32%3위) 신분당선 11.9%4위) 5호선 11.8%5위) 수인분당선 10.49%/직방 제공
2023-10-23
인천 주택 매매가격이 3개월째 오름세를 기록하고 있다. 전·월세도 8월 들어 상승세로 전환하는 등 거래 절벽의 충격에서 회복하는 분위기다.
20일 인천시가 발표한 '2023년 8월 부동산시장 동향' 보고서를 보면, 지난달 기준 인천지역 주택 종합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22% 올라 3개월째 상승 폭이 확대됐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0.33%, 단독주택이 0.08% 상승했고, 7월까지 하락이 계속됐던 연립·다세대주택도 0.04% 상승 전환했다.군·구별 매매가격도 호전되는 추세다. 중구(0.90%)와 연수구(0.72%) 등 신도시의 상승세가 계속된 가운데, 남동구(0.45%), 부평구(0.15%) 등도 상승 폭이 커졌다. 계양구(-0.11%)와 동구(-0.13%)는 하락 폭이 줄어 신도심과 구도심 간 격차가 뚜렷했던 7월과 달리 전체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미추홀구(-0.21%)는 하락 폭이 확대됐는데, 매물 적체가 계속되면서 주택 가격도 내렸다는 분석이다.하반기 들어 하락 폭이 줄어들던 인천지역 주택 전셋값도 오름세로 전환했다. 지난달 인천 내 주택 전셋값은 전월 대비 0.21% 올라 지난해 1월(0.02%) 이후 19개월 만에 플러스(+)를 기록했다. 군·구별로는 중구(2.18%)가 가장 많이 올랐고, 남동구(0.19%)와 부평구(0.37%)가 상승 전환했다. 동구(-0.16%)·미추홀구(-0.73%)·계양구(-0.19%) 등은 하락 폭이 둔화했다.인천지역 주택 월세 역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월세는 전월 대비 0.06% 상승했는데, 지난해 9월(0.01%) 이후 11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것이다. 전셋값과 마찬가지로 신도시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미추홀구(0.02%)·남동구(0.00%)가 하락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8월 기준 인천지역 평균 전셋값은 1억7천789만원, 월세의 경우 평균 보증금이 2천906만원, 평균 월세는 74만8천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송도국제도시 일대 아파트 전경. /경인일보DB
2023-09-20
2023-08-17 강승호
2023-08-17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