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 27주만에 0.03%↑ 전환공인중개사 "거론만으로 긍정적"
최근 정부가 1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2만6천가구+α'를 노후계획도시 정비 선도지구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도내에서는 1기 신도시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첫째주(지난 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해 12월 이후 27주 만에 0.03% 오르며 상승 전환했다.주요 지역을 보면 안양 동안구(0.20%)는 비산·관양동 위주로, 성남시 분당구(0.19%) 서현·이매동, 과천시(0.17%)는 부림·별양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이외 고양 덕양구(0.07%)와 일산서구(0.04%)가 소폭 올랐다. 이들 지역의 경우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선정을 앞두면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는 게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안양시 내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재건축 선도지구로 거론되는 것 자체만으로 해당 지역 및 단지 집값에는 매우 긍정적 요소"라면서 "서울은 물론 지방에서도 매수 문의가 늘고 있다. 같은 지역 내 다른 단지 아파트 가격이 내릴 때 선도지구 집값은 버텨주거나, 오를 때는 더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경기도 내에선 선도지구 중에서도 선호 단지 위주로 아파트값이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예전처럼 재개발·재건축 호재에 따른 시세 급등까지는 아니겠지만, 금리가 더는 오르지 않을 것이란 예상과 정책 완화 기조로 상승 분위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한편 경기지역 전세가격도 0.06% 상승했다. 지역별로 수원시 영통구(0.35%), 성남시 중원구(0.32%), 성남시(0.21%), 성남시 분당구(0.2%), 의정부시(0.17%), 성남시 수정구(0.15%), 안산시 상록구(0.15%), 수원시 장안구(0.15%) 등이 올랐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1기 신도시 지역 중 하나인 성남 분당 시가지. /경인일보DB
2024-06-09
가격변동률 -0.05%… 5개월째 ↓거래량, 서구·남동구·부평구 順부동산원, 4월 시장 동향 보고서인천지역 부동산 매매가격 하락 폭이 5개월 연속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천 전셋값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한국부동산원이 최근 공개한 '2024년 4월 부동산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인천지역 주택 매매 가격 변동률은 -0.05%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0.35%를 기록한 이후 5개월 연속 하락 폭이 줄었다.4월 매매가격 변동률을 구별로 보면 연수구(0.07%)·서구(0.06%)·남동구(0.04%)·계양구(0.03%)·동구(0.03%)는 상승했고, 부평구(-0.37%)·중구(-0.11%)·미추홀구(-0.05%)는 하락했다. → 그래프 참조지난달 인천지역 전세가격 변동률은 0.30%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 폭을 보였다. 구별로는 연수구가 0.69%로 가장 높았다. 이어 남동구 0.47%, 부평·계양구 0.37%, 서구 0.17%, 동구 0.12%, 미추홀구 0.11%로 집계됐다. 중구는 -0.22%로 하락 전환했다.인천지역 평균 주택매매가격(4월 기준)은 3억334만원, 평균 전세가격은 1억8천634만원이었다. 수도권 평균 매매가(5억5천534만원), 전세가(3억1천821만원)보다 낮았다. 인천지역 3월 주택 매매 거래량은 3천497건으로 전월(2천792건)보다 705건(25.3%) 늘었다. 강화·옹진군을 제외한 구별 주택 매매 거래량은 서구(723건), 남동구(565건), 부평구(562건), 연수구(487건), 미추홀구(434건), 계양구(381건), 중구(187건), 동구(76건) 순으로 조사됐다. 지가 변동률은 2월 0.140%에서 3월 0.156%로 0.016%p 상승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클립아트코리아
2024-05-21
정부 발표 후 평택 지제동 급부상 1호선·SRT·GTX A-C '쿼드러플' 김포시, 5호선 연장 이은 겹경사 안산 상록수역은 지난해부터 잠잠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호재는 경기도 주택 가격에 영향을 주는 큰 요소 중 하나다. 일반 교통 수단보다 서울을 보다 빠르게 진·출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GTX 호재에도 경기도내 지역별로 분위기가 사뭇 달라 눈길을 끌고 있다. 2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 25일 정부의 GTX 추가 노선 추진 계획 발표 이후 가장 들썩이는 곳은 평택 일대다. 이날 기준 부동산앱 '호갱노노' 인기지역을 보면 평택 지제동이 11위, 고덕동은 26위, 동삭동은 28위, 세교동은 38위에 이름을 올렸다. 발표 당일엔 평택 지제동이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인기 아파트 명단에도 평택 소재 아파트가 다수 포함됐다. 지난 22일부터 28일까지 호갱노노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인기 아파트 중 한 곳은 '지제역더샵센트럴시티'다. 이 기간 3만1천427명이 해당 아파트를 찾으며 인기 단지 4위에 등극했다. '평택화양휴먼퍼스빌시티', '평택지제역자이'도 각각 5위, 21위를 차지할 정도로 관심을 모았다. 평택 부동산에 관심이 쏟아지는 배경엔 GTX 연장 호재가 있다. 앞서 지난 25일 GTX-C노선 착공 기념식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기존 노선들의 연장과 GTX-D·E·F의 본격 추진을 골자로 한 '2기 GTX' 사업 구상을 발표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화성 동탄이 기점이던 GTX-A노선은 평택 지제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양주에서 수원을 잇는 GTX-C노선도 평택 지제역까지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지제역은 기존 수도권 지하철 1호선과 SRT에, GTX-A·C노선까지 더해져 '쿼드러플 역세권'으로 거듭나게 된다. 지제역 일대에선 GTX가 소위 '집값 급행열차' 역할을 하는 모양새였다. 정부 발표 이후 전화, 방문 등 매수 문의가 급증했다는 게 일대 공인중개사들의 목소리다. 유연재 유앤유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는 “이미 일대에선 GTX 개통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씩 있어왔다. 발표 직후 곧바로 호가가 올라간 것은 아니지만 관망하던 매수자들이 발표 이후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7억9천만원에 급매로 나온 매물도 한동안 안 나가다가 발표 직후 주말에 바로 거래가 됐다"고 귀띔했다. 5호선 연장과 더불어 GTX-D까지 추진되는 김포 역시 지역 부동산 시장이 뜨거운 곳이다. 평택 지제역 일대처럼 김포시 장기동 등도 잇딴 철도 호재에 매수 문의가 늘어나자,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올리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당초 GTX-D는 김포에서 부천종합운동장까지만 건설하는 것으로 추진됐었는데 최근 발표에선 3기 신도시인 부천 대장지구를 중심으로 한 축은 김포 장기동부터 인천 검단·계양, 광명·시흥, 서울, 하남 교산, 남양주 팔당을 잇고 다른 한 축은 인천국제공항부터 서울, 성남 모란, 광주 곤지암, 이천, 여주, 강원 원주로 이어지는 X자 노선안이 발표됐다. 반면 GTX-C노선 수혜지로 거론되는 안산 상록수역 일대는 비교적 잠잠하다. 고금리에 따른 주택경기 침체 장기화로 추가 정차가 확정된 지난해 8월부터 C노선 첫삽을 뜬 현재까지도 집값 상승으로는 좀처럼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정성기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경기남부 안산 상록구 지회장은 “이 지역 주택 가격은 호황기이던 3년 전에 조금 올랐다가 내린 뒤 움직임이 전혀 없다"며 “고금리 속 크게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아, 전세나 매매 모두 움직임이 조용하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GTX 호재와 관련, 신중히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대부분의 GTX 노선이 아직 계획 단계이거나 착공 전 단계다. 향후 사업 자체가 어떻게 될지 확실치 않기 때문에 투자 시 유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
2024-01-29
고금리 장기화 요인, 내 집 마련 꺼려 급매물 위주 거래… 가격 하향 조정 정주 요건 안정 단지 임대차 회복세 연말 연초 경기도 주택 매매 시장과 전세 시장이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매매 가격은 내리는 반면 전세가는 오르는 것이다. 고금리 장기화에 집값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내 집 마련 대신 주택 임대차를 택하는 수요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3년 12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경기도 주택 매매 가격은 전달보다 0.13%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하남(0.24%)과 수원 영통구(0.16%)에서 상승세를 보였지만 광주(-0.56%), 동두천(-0.49%), 고양 일산동구(-0.40%) 등 주요 지역 단지에선 낙폭이 커지면서 경기도 전체 주택 매매가가 하락 전환했다. 전세 사기와 깡통전세 우려 속 상대적으로 시선이 쏠렸던 아파트 매매 가격도 하락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12월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0.2% 하락한 92.6으로 집계됐다. 평균 매매가격 또한 지난해 11월 5억1천732만2천원에서 한달 뒤인 같은 해 12월 5억1천661만8천원으로 0.13% 빠졌다. 새해 들어서도 아파트 가격 하락세는 여전하다. 매매가격지수가 2024년 1월 1주 92.7에서 1월 2주 92.6으로 내림세가 이어지는 양상이다. 반면 주택 전·월세 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2월 경기도 주택 전세와 월세 가격은 전월 대비 각각 0.29%, 0.25% 올랐다. 전세 가격은 수원 영통구(1.06%), 고양 일산서구(1.04%)가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월세 또한 수원 영통구(1.29%), 화성(0.91%), 하남(0.82%), 부천(0.4%) 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생활기반시설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주택 임대차 수요가 계속되는 셈이다. 임차 수요가 늘어나면서 아파트 전세 값은 우상향 곡선을 그린다. 지난해 12월 경기도 아파트 평균 전세 가격은 3억1천98만5천원으로 전달 대비 0.5%(156만4천원) 상승했다. 전세수급지수도 올해 1월 1주 93.3에서 1월 2주 93.4로 소폭 올랐다. 0~200으로 나타내는 전세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100 미만이면 전세 수요보다 공급이 많다는 뜻이다. 수급지수가 기준점에 근사해지고 있는 만큼 전세 수요가 회복하는 시그널로도 해석된다.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경기 둔화 우려로 매수 관망세가 깊어지면서 급매물 위주 거래가 이뤄지며 매매 가격 하향 조정이 지속되고 있지만, 전세는 정주 여건이 양호한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적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주춤하고 있지만, 경기도 분양가는 치솟는 중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2023년 12월 말 기준 민간 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을 보면 경기도 1㎡당 평균 분양가는 654만3천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4만원 올랐다. 이를 3.3㎡으로 환산하면 2천159만1천원이다. '국민면적'인 전용 84㎡ 평균 분양가가 7억5천571만원인 꼴이다. 이처럼 높아지는 분양가에 신규 분양 대신 주택 임대차를 택하는 수요자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분양가 기조 속 경기도의 연말 연초 민간 아파트 분양 성적은 좋지 않다. 지난해 12월 3주부터 올해 1월 2주까지 분양에 돌입한 단지 13곳 중 1순위 청약 마감에 성공한 단지는 5곳에 그친다. 62%가 입주자 모집에 실패한 것이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
2024-01-17
공간 지니계수 서울에 이어 두번째연수구엔 고가·구도심엔 저가 밀집국토硏 "환경 수준 편차 줄이려면복지정책 동반한 단지 개발 필요"인천지역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밀집지가 뚜렷하게 나뉘면서 주거환경의 불평등 수준이 높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국토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와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주택가격에 따른 주거지 분리 수준을 알 수 있는 공간 지니계수의 경우 인천이 0.34로 서울(0.38)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공간 지니계수란 주택가격에 따른 소득 불평등도를 측정한 수치(0~1)로,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지니계수가 0.4 이상이면 '심한 불평등', 0.3 이상 0.4 미만이면 '불평등'이 존재한다고 본다.국토연구원은 서울과 인천, 부산, 대구, 대전 등 국내 주요 도시의 주택 공시가격 데이터를 활용해 2011년과 2016년, 2021년의 주거지 분리 수준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인천은 해당 기간 주택가격에 따른 고가주택과 저가주택의 밀집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국토연구원은 공간 지니계수 외에도 주택 공간의 밀집도를 나타내는 상관계수를 산출했는데, 2021년 기준 인천의 상관계수는 0.60으로 나타났다. 상관계수값이 0.5 이상이면 밀집도가 강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 역시 서울(0.6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인천은 송도국제도시가 위치한 연수구에 고가주택이 밀집한 것으로 나타났고, 미추홀구와 동구 등 구도심은 저가주택의 밀집도가 시간이 갈수록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지역에 따라 주택가격의 격차가 심화하는 것은 주택 매매가격에서도 잘 드러난다.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3.3㎡당 주택 매매가격을 보면 최근 10년 사이 인천 내 가격 격차는 큰 폭으로 확대됐다. 2013년 11월 기준 인천 군·구별 3.3㎡당 매매가격은 연수구가 930만6천원, 동구와 미추홀구(당시 남구)는 각각 793만원과 800만9천원이었다. 그러나 올해 11월 기준 3.3㎡당 매매가격은 연수구가 2천226만원으로 10년 전보다 133%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동구(974만원)와 미추홀구(1천167만원)의 매매가격은 같은 기간 22.8%, 45.7%씩 오르는 데 그쳤다.이처럼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현상이 심화되면 지역별 교육, 문화, 환경 수준 등의 편차도 커질 수밖에 없다. 국토연구원은 저가주택이 밀집한 지역의 대규모 아파트단지 건설을 통해 생활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다만 개발이 진행되면 주택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기존 저소득 세입자에 대한 주거복지 정책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국토연구원 이윤상 부연구위원은 "아파트단지 건설은 젊은 층 인구 유입과 쇼핑·편의시설 입점 등을 유발해 생활환경 개선 효과를 일으킨다"며 "그러나 저소득층을 위한 저렴한 주택이 감소하는 부작용이 예상되는 만큼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 지급 등의 정책도 동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2023-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