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6㎡ 다음달 12~16일 접수주변시세比 60~80%수준 저렴인천 2호선 운연역 인근 '장점'한국토지주택공사(LH) 인천지역본부가 인천 서창2지구 내 678세대 규모 행복주택 입주자를 모집한다.서창2지구 행복주택 신청기간은 오는 1월 12~16일로, 인터넷과 모바일을 이용해 접수가 가능하다. 당첨자 발표는 내년 3월14일, 입주는 2017년 12월로 예정돼 있다.공급형별 물량은 ▲21㎡형 472호(대학생·사회초년생 418호, 고령자 30호, 주거급여수급자 24호) ▲26㎡형 64호(고령자 18호, 주거급여수급자 46호) ▲36㎡형 142호(신혼부부 124호, 고령자 18호)이다.서창2지구 행복주택은 인근 대체 우회도로, 각종 연결도로, 인천지하철 2호선(운연역)을 통해 근거리 출퇴근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구 외곽에 있는 제2경인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를 통한 수도권, 인천공항 등의 접근성도 좋다. 인천대공원, 소래습지생태공원으로 이어지는 자연녹지축이 형성돼 쾌적한 자연환경을 누릴 수 있다.서창2지구 행복주택의 임대료는 주변시세의 60~80% 수준으로 저렴하다. 전용면적 21㎡에 입주하는 대학생은 월 임대료를 6만2천(보증금 2천572만원)~14만5천원(보증금 372만원)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단지 내에는 입주자 편의시설로 작은 도서관, 북카페, 복합커뮤니티룸, 공동세탁실, 무인택배보관실, 와이파이존, 게스트하우스가 마련된다. 대학생·사회초년생 대상 세대에는 냉장고, 가스쿡탑, 책상 등 빌트인 생활용품을 설치해 주거생활의 편리성을 높였다.행복주택 입주자격기준은 ▲인천시 또는 인접한 서울시, 부천시, 김포시, 시흥시 소재 학교·직장에 다니는 대학생·사회초년생·신혼부부 ▲인천시 거주 고령자·주거급여수급자 등이다. 이번 입주자 모집에서는 사회초년생이나 신혼부부의 자격 범위를 청년 창업인, 프리랜서, 예술인 등으로 넓혀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아니더라도 행복주택 입주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젊은층 거주기간은 기본 6년으로 대학생, 사회초년생이 거주 중 취업·결혼으로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자격을 갖출 경우 최대 1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2년 단위로 계약이 체결된다.자세한 입주자격과 신청가능요건 등은 인터넷 블로그(http://blog.naver.com/happyhouse2u)와 LH청약센터(https://apply.lh.o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인천서창2지구 행복주택 조감도. /LH 인천지역본부 제공
2016-12-28 홍현기
구월주택용지 247대 1 평균경쟁률미단시티, 입찰 없어 또 매각 불발인천 남동구 구월지구 끝단에 위치한 단독주택용지가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완판됐다. 인천 영종도 미단시티 내에 공급된 공동주택용지와 관광시설용지 등은 또다시 매각에 실패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온도 차를 보였다.인천도시공사는 구월지구 내 단독주택용지 4필지를 추첨 방식으로 공급한 결과 평균경쟁률 247.5대 1을 기록하며 모두 매각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된 단독주택용지는 D1-9(219㎡·공급예정가격 4억734만원), D1-10(220㎡·〃4억920만원), D1-11(221㎡·〃4억443만원), D1-12(221.6㎡·〃4억552만8천원) 등 4곳인데, 이중 D1-10이 279대 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도시공사가 구월지구 단독주택지와 함께 공급한 미단시티 내 토지는 또다시 주인을 찾지 못했다. 공사는 공동주택용지인 공동7(2만5천370.3㎡·공급예정가격 274억원)·공동8(8만2천62.6㎡·〃886억원)과 관광시설용지 문화2(1만1천982.4㎡·〃 87억8천300여만원)를 각각 추첨, 경쟁입찰 방식으로 공급했는데 신청자가 없었다고 밝혔다. 공사는 올해 해당 용지에 대한 입찰을 여러 차례 진행했지만, 모두 유찰된 사례가 있다.장기간 지지부진했던 미단시티 내 카지노복합리조트 사업이 정상화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부동산 시장 열기로 이어지지 못한 셈이다. 최근 미단시티개발(주)가 인천 영종도 미단시티 내 중심상업용지 등 5개 필지를 공급했는데, 이 중 3개 필지 매각이 성사되지 못하기도 했다.도시공사 관계자는 "최근 미단시티 내 핵심 앵커시설인 복합리조트 사업을 추진할 대체투자자가 확정됐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있다고 보고 매입을 망설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도시공사는 이번에 공급한 검단일반산업단지 내 폐기물처리시설용지 1필지 매각도 불발됐다. 검단산단 폐기물처리시설용지의 경우 공급가격을 당초 조성원가(309억원)에서 감정평가액(240억원)으로 변경하는 등 매수자 입장에 유리한 조건을 적용했는데도 주인을 찾지 못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2016-12-26 홍현기
지역주민 '사유재산권 보호'해제된 농림지역 '용도변경'장기 미집행도로 55곳 폐지152㏊ 자연취락지구 협의도인천 강화군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사유재산권 보호를 위한 토지이용 규제를 대폭 완화한다고 26일 밝혔다.군은 올해 미세분 관리지역 및 농림지역 321ha를 계획관리지역 55ha(17%), 생산관리지역 215ha(70%), 보전관리지역 51ha(13%)로 변경한 데 이어, 내년에도 504ha를 계획관리지역 252ha(50%), 생산관리지역 69ha(13.6%), 보전관리지역 183ha(36.4%)로 변경할 계획이다.군은 현재 주민열람·공고 중이며 완료 시 관련 기관(환경청, 농림축산식품부, 산림청 등)의 협의를 거쳐 강화군의회 의견청취 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 이행을 거쳐 도시관리계획 변경 결정을 마무리하게 된다.또한 지난 8월 농업진흥지역이 해제된 농림지역(181ha)에 대해서도 내년에 새롭게 인근 용도지역 및 주변 상황에 따라 관리 지역 등으로 용도지역 변경을 추진할 계획이다.아울러 자연녹지지역 내 주택 밀집지역 등(152ha)에 대해 자연취락지구 지정을 추진 중이며, 현재 인천시와 협의 중이다.자연취락지구로 지정이 되면 현 건폐율 20%를 50% 이하까지 상향시킬 수 있어 그동안 재산권을 침해받고 있던 군민들에게는 숨통이 트이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특히 군은 10년 이상 된 장기 미집행도로 147개소를 2020년 7월 일몰제에 앞서 조금이라도 빨리 군민의 사유재산권 침해를 해소하기 위해 주민설명회를 통한 주민 의견 등을 수렴한 노선 55개소에 대해 내년 상반기에 폐지 절차를 이행한다는 방침이다.한편, 군은 2016년도 5개소의 도시계획도로 개설을 추진 중이며, 2017년도에는 40여억 원을 투입, 6개소의 도시계획도로 개설을 할 예정이다. /김종호기자 kjh@kyeongin.com
2016-12-26 김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