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활성화 지표로 꼽히는 인천 지역 '거래회전율'이 지난해 크게 하락했다. 아파트와 주택은 물론 상업·업무용 건물 거래량도 고금리 영향에 30% 이상 급감했다.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인천 지역 집합건물(개별 호수로 등기가 된 아파트 등 건물) 거래회전율은 0.50을 기록해 1년 전(0.89)보다 떨어졌다. 거래회전율이란 거래가 가능한 부동산 중 실제 거래된 부동산 수를 수치화한 지표다. 예를 들면 0.1은 부동산 1천개 중 1개꼴로 거래됐음을 의미하며, 1을 넘으면 부동산 거래가 활성화한 것으로 본다. 인천 지역 집합건물은 지난해 4월 0.91을 기록하는 등 1천개당 10개 안팎으로 거래됐지만 4분기 이후에는 5개를 넘지 못하고 있다.이른바 '꼬마빌딩' 등 1채가 거래 단위인 상업용 건물의 거래회전율은 더욱 저조하다. 지난해 1월에는 0.17, 10월엔 0.22를 나타내는 등 한 달에 1~2개는 거래됐지만, 12월에는 0.09로 1천개당 1개도 채 팔리지 않았다.
면적당 거래 가격도 하락 추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정보를 통해 확인한 인천 지역 상업·업무용 시설의 3.3㎡당 평균 가격(연면적 기준)은 지난해 12월 1천101만원으로, 1년 전(1천598만원)과 비교해 31.1% 하락했다. 9월까지 1천500만원 밑으로 하락한 적이 없었지만, 집합건물과 마찬가지로 4분기 늘어 내림세로 전환한 것이다.12월 집합건물 거래회전율 0.5 기록면적당 거래가는 작년대비 31.1% ↓금리 급등 대출 부담·물가 상승 원인상업용 건물의 거래가 더욱 부진한 이유는 금리 등 경기 변화에 따른 움직임이 아파트나 주택에 비해 더디기 때문이다. 상업용 건물 계약은 짧게는 3년, 길게는 5년을 주기로 이뤄지는데, 지난 1년 사이 금리가 급등한 반면 월세 수익은 고정된 경우가 많아 늘어난 대출 부담을 메우기가 어려운 구조다. 물가 상승으로 건물 관리비 등 각종 부대비용이 늘어나면서 수익률이 악화한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규모 상업용 건물 등을 중개하는 남동구 한 공인중개사는 "작은 건물이라 해도 건물 매입비의 80%를 대출로 마련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금리 인상이 계속된 작년 하반기 들어 거래가 사실상 끊겼다"며 "4~5%에 형성되던 임대수익률도 1%대까지 떨어졌다"고 말했다.다만 거래절벽에도 급매물 등이 나오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토지건물거래 분석업체 '밸류맵' 이창동 리서치센터 팀장은 "상업용 건물의 거래량은 2021년과 비교해 40% 이상 줄었지만, 평균 토지가는 아직까진 큰 변동이 없다"며 "자산 소유주들이 시장 상황을 지켜보면서 호가를 내리지 않고 있기 때문인데, 올해 금리 인상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2023-02-05
다가오는 2월, 경기도에선 성남 판교와 화성 등에서 5천29가구가 집들이에 나설 전망이다. 거래절벽 속 새 아파트 입주장이 열리는 것인 만큼 매매 및 전세시장 향후 흐름에 관심이 쏠린다.30일 국내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오는 2월 수도권 입주 예상 물량은 1만5천206가구로, 물량이 전년동기 대비 9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경기지역 물량은 5천29가구로 33.1% 수준이다. 2월엔 서울 물량이 6천303가구로 가장 많다. 보통 수도권 입주 물량에선 경기지역 물량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나, 이례적으로 서울 입주 물량이 많은 상황이다.
수도권 예상 물량 전년比 98% ↑화성·양주·평택·시흥·성남시 順"매물 적체로 전셋값 하락커질듯"
지역별로는 도내에서 화성시 물량이 1천297가구로 가장 많고, 양주(935가구), 평택(877가구), 시흥(826가구), 성남 수정구(350가구) 순이다. 이중 화성 '신동탄포레자이'와 성남 '판교밸리자이'가 특히 이목을 끌고 있다. 화성 반월동에 조성된 신동탄포레자이는 전용 59~84㎡, 1천297가구 규모의 대단지다. 수원 영통지구와 화성 반월동 경계에 위치해 두 생활권 이용이 수월한 게 특징이며, 2월 말 입주 예정이다.성남 수정구 고등동에 위치한 판교밸리자이는 C1,C2 블록이 각각 130가구, C3블록이 90가구다. 총 350가구 규모다. 고등지구에서 공급된 마지막 민간분양 단지로 주목을 받았으며, 해당 단지도 2월 말 입주를 계획하고 있다.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상반기 수도권 입주물량은 8만5천452가구로 전년보다 56%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는 상황 속 새 아파트가 집중되는 곳은 매물 적체 등으로 전셋값 하락폭 확대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2월 경기도에선 성남 판교와 화성 등에서 5천29가구가 집들이에 나설 전망이다. 거래절벽 속 새 아파트 입주장이 열리는 것인 만큼 매매 및 전세시장 향후 흐름에 관심이 쏠린다. 사진은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경인일보DB
2023-01-30
20일부터 1기 신도시별 주민설명회 개최의원발의안보다 적용 대상 늘려20년 경과·100만㎡ 택지지구까지 포함경기도가 '준공 20년 경과된 100만㎡ 이상 택지지구'까지 포함하는 자체 '노후 택지 재정비 특별법(안)'을 마련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관련 법안보다 적용 대상을 확대해 기존 신도시뿐만 아니라 도내 노후지구까지 포함한 것이다.도는 20일부터 1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주민설명회를 거친 후 해당 법안을 중앙정부에 건의, 정부 차원의 특별법 제정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계획이다.도는 '노후택지 재정비 특별법' 적용 대상을 준공이 20년 지난 100만㎡ 택지지구로 확대하는 내용의 경기도안과 개발 방향을 수립했다고 19일 밝혔다. 해당 경기도안에는 국회에 계류 중인 8개 특별법안을 비교·분석,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마련됐다.현재 국회에 발의된 법안은 330만㎡ 이상 택지지구를 적용 대상으로 뒀는데, 도는 기존 신도시뿐만 아니라 도내 노후지구까지 특별법에 적용되도록 적용 대상을 확대했다. 또 실시계획 절차 생략, 용적률 등 각종 규제 완화 및 지원대책, 통합심의 등을 통한 절차 간소화 및 사업추진 지원 등을 담았다.이와 더불어 '1기 신도시 재정비 개발 방향 종합구상(안)'으로는 4대 특화전략(Landuse, Mobility, Energy, Smartlife)과 5대 핵심과제(공동주택 정비, 단독주택 정비, 지원기능 보완, 자족기능 보완, 교통개선)를 재정비하는 방향을 제시했다.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구조를 마련하고 역세권은 복합용도로 유도하며 기존 보행체계 역할 확대와 함께 스마트그린모빌리티 운영기반 조성 방향이 담겼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를 도입하고 스마트 공공·민간서비스를 주요 내용으로 각각 제안했다.도는 이번에 마련한 내용을 도민들과 공유하기 위해 1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주민설명회는 20일 군포시(시청), 25일 성남시(분당구청), 26일 고양시(꽃전시관), 30일 안양시(동안평생학습센터), 31일 부천시(시청)에서 각각 열린다. 도는 이 자리에 1기 신도시뿐 아니라, 원도심 주민과 인근 시·군 주민들도 참석할 수 있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것으로 내다봤다.주민설명회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한 후 도는 '노후택지 재정비 특별법 경기도(안)'을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정부 차원에서 마련할 특별법 제정(안)에 도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윤성진 도 도시재생추진단장은 "도는 주민들의 의견을 계속 들으며 중앙정부 및 시·군과 협력해 1기 신도시, 원도심 주민들의 생활이 불편하지 않도록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경기도가 자체 '노후 택지 재정비 특별법(안)'을 마련했다. 사진은 수도권 1기 신도시인 평촌신도시 전경. /경인일보DB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