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1
사업 활성화·난개발 대비 목적
용역 수행 연구기관 모집 실시
인천시가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 활성화와 난개발에 대비해 '소규모주택정비 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정비 사업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만든다. 인천시는 '인천시 소규모주택정비 종합관리계획 및 가이드라인 수립' 용역을 수행할 연구기관을 모집 중이라고 7일 밝혔다.지역에서 추진 중인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의 질적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용역 수행 기간은 1년으로 비용은 5억2천만원이다.소규모주택정비사업은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이 정의하고 있는데 4가지 유형이 있다. 기존 도로 등을 유지하면서 소규모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가로주택정비사업', 기반시설이 양호한 지역에서 공동주택을 재건축하는 '소규모재건축사업', 역세권·준공업지역에서 주거환경·도시환경을 개선하는 '소규모재개발사업', 단독·다세대 등을 개량하는 '자율주택정비사업' 등이 있다.시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번 용역을 추진한다. 지난달 말일 기준 인천 전역에서 261건의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가로주택 196건, 소규모재건축 57건, 소규모재개발 5건, 자율주택 3건 등이다. 지역별로는 미추홀구가 75건으로 가장 많고, 부평구 67건, 계양구 27건, 남동구 25건, 동구 10건, 중구 4건 등이다. 사업이 완료된 곳은 7개소가 있다.261건 가운데 155건은 주민동의를 받기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다. 조합 설립까지 진행된 건 51건이다. 대부분 사업 초기다. 실제 착공해 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7건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관리지역' 지정 수요가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면적과 용적률 등 정비사업 요건이 완화되고, 도로·주차장 등 기반시설 비용 지원 등의 혜택을 준다. 난개발을 방지하고 사업성을 높여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게 된다. 관리지역 지정을 민간이 지방자치단체에 제안할 수 있어 관리지역 지정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시는 이처럼 관리지역 지정이 필요한 예정구역을 찾아내고, 사업 유형별 디자인 가이드라인도 용역 결과를 토대로 마련할 계획이다.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이 소규모주택정비를 활성화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인천시청사. /경인일보DB
2024-08-07
2024-08-04
국토부, 6월 주택통계 발표
道 미분양 9956가구 7년만에 최다… 평택·안성 3861가구로 43% 차지인천 주택 인허가 작년比 84.3% ↓… 착공·분양승인은 두곳 다 증가 경기도 미분양 주택 규모가 평택과 안성시 등 경기도 외곽지역의 미분양 증가세로 인해 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올 상반기 인천시의 주택 인허가는 전년에 비해 반토막이 났을 정도로 건설경기의 흐름이 부진을 거듭하고 있다.■미분양! 경기도는 늘고, 인천은 줄고 = 31일 국토교통부의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6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모두 7만4천37가구로 집계됐다. 수도권 미분양은 경기도 9천956가구, 인천시 4천135가구 등 총 1만5천51가구로 전월대비 290가구(2.0%) 증가했다.인천시(-775가구)와 서울시(-15가구)의 미분양은 전달에 비해 줄었지만 경기도 미분양이 한 달새 1천80가구가 늘어나면서 수도권 전체 미분양 증가세를 이끌었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역시 경기도가 1천767가구로, 경남 1천771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았다.경기도 내에서는 평택과 안성시에 미분양이 두드러졌는데 평택시 12개 단지 2천473가구, 안성시 1천378가구 등 두 지역의 미분양은 3천861가구로, 경기지역 미분양의 43%를 차지했다. 이들 지자체에선 미분양으로 인한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분양 추이를 지속해서 점검하고 있다.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분양시장이 서울과 인근 지역은 활황이고, 그 외 지역은 의기소침해 양극화로 보일 수 있으나 시차를 두고 외곽지역도 살아나기에 현시점에서 양극화를 부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면서 "사업성이 없거나 입지가 좋지 않은 곳들은 미분양되는 게 시장 원리에 맞다"고 말했다.■경기·인천의 부진한 주택 인허가 흐름 =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지난달 2만3천886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1% 줄었고 올해 상반기 누계 인허가 역시 14만9천860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26.1% 감소했다.경기도의 지난달 주택 인허가도 지난해 6월보다 36.3%가 줄어든 5천685가구에 불과했다. 1~6월 누계 주택 인허가도 4만791가구로 전년동기 대비 17.0% 감소했다. 더욱이 인천은 6월 주택 인허가가 669가구로, 1년 전보다 무려 84.3%나 감소하면서 1~6월 누계 주택 인허가가 지난해 상반기 1만3천273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6천296가구(47.4%)에 머물렀다.반면, 올 상반기 경기도·인천시의 착공은 4만3천738가구, 1만4천539가구로 각각 29.4%, 171.5% 증가했고 분양승인도 경기도 3만3천545가구, 인천시 8천424가구로 27.7%, 86.7%씩 늘었다. 상반기 준공된 입주물량은 경기도가 6만5천233가구로 전년동기보다 9.2% 감소했고 인천도 9천364가구에 머물면서 57.7%에 그쳤다.한편, 6월 전월세 거래량은 경기도가 5만9천45가구로 전월 대비 17.1%, 전년동월 대비 12.3%가 줄었고 같은 기간 인천시도 1만976가구로, 전월보다 16.2%, 전년동월보다 11.7% 감소했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024-07-31
디엘건설 등 4개社 순위 유지·상승대우산업·유승종건, 수주·실적부진국토교통부의 올해 종합건설사 시공능력평가에서 인천지역 건설사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시공능력순위 50위권 안에 드는 기업들은 수주액이 지난해보다 늘면서 순위가 올랐지만, 50위권 밖 기업들은 수주액 감소와 경영난 등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국토부가 31일 발표한 '2024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를 보면, 인천에 본사를 둔 종합건설업체 중 100위 안에 든 기업은 4개(디엘건설·한양·진흥기업·중앙건설)다. 50위권 안에 든 기업 중 디엘건설이 13위를 유지했고, 한양(38위→37위)과 진흥기업(47위→41위)은 순위가 올랐다.반면 지난해 50~100위에 들었던 대우산업개발(75위)과 유승종합건설(88위)은 올해 각각 118위, 145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115위였던 중앙건설은 올해 100위에 올랐다.시공능력평가는 공사실적액과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 등을 합산한 전체 평가액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다. 이 가운데 최근 3년간 수주액의 평균을 책정하는 '공사실적액'과 기업의 차입금의존도, 자기자본비율, 이자보상비율 등 자본 상태를 나타내는 '경영평가액'이 시공능력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두 지표에서 올해 인천 건설사들의 시공능력평가 결과가 엇갈렸다.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50위권을 유지한 디엘건설과 한양, 진흥기업의 공사실적액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건설경기 침체에도 경영평가액 역시 소폭 오르거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순위가 하락한 대우산업개발과 유승종합건설은 공사 수주와 경영 실적 모두 부진했다. 유승종합건설의 공사실적액은 지난해 780억원에서 올해 462억원으로 줄었고, 같은 기간 경영평가액도 2천340억원에서 1천155억원으로 감소했다.지난해 9월 회생 절차를 신청하고 법정관리에 들어간 대우산업개발의 상황은 더욱 좋지 않다. 경영평가액이 지난해 280억원에서 올해 마이너스(-) 509억원을 기록해 적자로 돌아섰고, 공사실적액도 2천859억원에서 2천545억원으로 감소했다. 건설업체가 계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거나 영업정지를 당한 경우 감산이 되는 신인도평가액도 지난해 389억원에서 올해 -207억원으로 크게 하락했다. 대우산업개발 관계자는 "수주 감소와 법정관리 등이 시공능력평가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며 "우선 회생계획 절차를 진행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했다.올해 100위를 차지한 중앙건설은 공사실적액이 지난해 1천45억원에서 올해 1천83억원으로 늘었고, 경영평가액도 같은 기간 844억원에서 982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자본 상태도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2024-07-31
국토부,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 지정
김포시 마산동, 운양동, 장기동, 양촌읍 일원 731만㎡ 땅에 '분당급 신도시'가 들어선다.국토교통부는 4만6천가구 규모의 '김포한강2'를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하고 이를 31일 고시한다고 30일 밝혔다. → 위치도 참조김포한강2는 윤석열 정부에서 발표한 첫 신규 택지로, 2030년 최초 분양을 목표로 한다.김포한강2는 하남 교산(3만3천가구), 고양창릉(3만6천가구), 부천대장(1만9천가구), 인천계양(1만7천가구) 등 다른 3기 신도시보다 규모가 크다.특히 인접한 기존 김포한강1지구(5만6천가구)와 합하면 분당급(9만7천600가구) 신도시가 될 전망이다.여기에 연접한 김포장기지구(5천가구), 김포양곡지구(5천가구), 김포감정1지구(4천가구)까지 더하면 총 11만6천가구 규모의 수도권 서부 거점도시가 될 거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김포한강2는 지하철 5호선 연장 등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 기능을 압축, 고밀 개발하는 '콤팩트시티' 개념을 도입한 게 특징이다.이를 위해 국토부는 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의 광역교통위원회 심의 및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과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등 행정 절차를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여의도까지 30분 내로 접근이 가능한 철도 중심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병목구간을 해소하는 등 주변 지역 교통 여건 개선을 위한 도로 대책도 수립할 계획이다.한편 정부는 평택지제(3만3천가구), 구리토평2(1만8천500가구), 용인이동(1만6천가구), 오산세교3(3만1천가구)도 내년까지 신속히 지구 지정을 완료해 김포한강2를 포함해 수도권에 15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김태성·김우성기자 mrkim@kyeongin.com
2024-07-30
서울 여의도와 30분거리인 김포시 마산동 등에 '김포한강2'가 들어선다. 국토교통부는 김포한강2에 대한 관계기관 협의,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가 완료돼 오는 31일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고시한다고 30일 밝혔다. 김포시 마산동, 운양동, 장기동, 양촌읍 일원 731만㎡ 땅에 4만6천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김포한강2는 하남 교산(3만3천가구), 고양창릉(3만6천가구), 부천대장(1만9천가구), 인천계양(1만7천가구) 등 웬만한 3기 신도시보다 큰 규모로, 2030년 최초 분양을 목표로 한다. 인접한 기존 김포한강1지구(5만6천가구)와 합하면 10만2천가구로 분당급(9만7천600가구) 신도시가 되는 셈이다. 또한 연접한 김포장기지구(5천가구), 김포양곡지구(5천가구), 김포감정1지구(4천가구)까지 더하면 총 11만6천가구 규모의 수도권 서부 거점도시가 될 거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국토부는 여의도까지 30분내 접근이 가능한 철도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하고, 병목구간 해소 등 주변지역 교통여건 개선을 위한 도로대책도 수립하여 지역의 심각한 교통난을 해소할 계획이다. 김포한강2는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기능을 압축, 고밀 개발하는 '콤팩트시티' 개념을 도입한 게 특징이다. 현재 서울 5호선 지하철이 검단을 거쳐 김포한강2까지 이어지도록 연장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국토부는 지하철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의 광역교통위원회 심의 및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과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등 행정절차를 조속히 추진하고 이를 통해 여의도까지 30분 내로 접근이 가능한 철도 중심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는 청년·무주택 서민의 내 집 마련 기회 확대와 동시에 심각한 교통난 해소라는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 정부에서 발표한 평택지제(3만3천가구), 구리토평2(1만8천500가구), 용인이동(1만6천가구), 오산세교3(3만1천가구)도 내년까지 신속히 지구지정을 완료해 김포한강2를 포함해 수도권에 15만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
2024-07-30
2024-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