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소형과 1천가구 이상의 대단지 콜라보가 인기다. 1천가구 이상의 대단지는 입주 후 고정수요가 풍부해 도로, 편의시설, 학교 등 인프라가 함께 구축되는 경우가 많아 생활인프라 이용이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 1천가구 이상의 대단지가 들어서는 만큼, 지역을 대표하는 아파트로 손꼽히며 가격상승률까지 주도한다. 실제로 대단지 아파트가 소규모 단지보다 가격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규모별 가격 상승률에서 1천가구 이상 단지의 가격 상승률이 7.36%로 가장 높았다. 700~999가구 이하 6.29%, 500~699가구 이하 5.38%, 300가구~499가구 이하 5.09% 등이었다. 300가구 미만 단지는 3.93%에 불과했다. 단지 규모가 클수록 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여기에 실수요자들을 유인하는 또 다른 인기요소는 중소형이다. 최근 분양시장에서는 전용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들로만 청약자들이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또 최근 중소형 면적은 4베이를 비롯해 알파룸, 서재 등 넓은 서비스 공간까지 주어짐에 따라 3~4인 가족도 거주할 수 있을 만큼 정주 여건이 개선된 점도 인기를 끄는 이유 중 하나다.분양 성수기를 맞아 전국에서 중소형 대단지 아파트가 잇따라 수요자들을 유혹한다. 먼저 14일 금강주택은 남양주 다산신도시 B-7블록에서 '다산신도시 금강펜테리움Ⅱ'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분양을 시작한다. 지난 8월 성공리 분양한 1차와 함께 2천248가구의 대규모 브랜드타운으로 조성된다. 이번에 분양에 나서는 2차는 지하 1~지상 30층, 15개 동, 전용면적 79·84㎡, 총 1천304가구로 공급된다. 단지 북측에는 유치원, 단지 앞에는 초등학교 예정 부지가 위치한다. 도보권으로 중·고교도 들어설 예정으로 교육여건이 매우 뛰어나다. 한강이 가까우며 앞이 트여 있어 가구에 따라 한강 조망도 가능하다.10월중 대우건설은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608번지 일원에서 초지1구역, 초지상, 원곡3구역 등 3개의 주택재건축 구역을 통합 재건축한 아파트 '초지역 메이저타운 푸르지오' 4천30가구(전용 48~84㎡)를 공급한다. 이 중 일반분양은 1천388가구로, 93% 가량이 전용 59㎡ 이하로 구성됐다. 단지는 소사~원시선 화랑역(공사 중)과 지하철 4호선 초지역, KTX 초지역(2021년 예정) 등이 맞붙은 트리플 역세권 지역에 입지한다.삼성물산은 오는 11월 서울 성북구 석관동 58의 56 일원에 석관 제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인 '래미안 아트리치'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3층, 14개 동, 전용 39~109㎡, 총 1천91가구 규모로 조성될 계획이다. 이 중 전용 59~109㎡, 616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한화건설은 11월초 인천시 남동구 서창동 서창2지구 13블록에 위치한 뉴스테이 아파트 '인천 서창 꿈에그린'의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지하 1층~지상 25층, 9개 동, 전용 74~84㎡, 총 1천212가구 규모의 대단지다. 양우건설(시공 예정사)은 김포시 고촌읍 전호리 일대에 지역 주택조합 아파트인 '한강마리나시티'의 조합원을 모집하고 있다. 지하 1층~지상 30층, 24개 동에 전용면적 59·84㎡ 총 1천853가구의 중소형 대단지로 조성된다. 한강과 아라뱃길을 동시에 조망할 수 있는 더블 조망권 단지로 주거환경이 쾌적하다. 서울 지하철 5호선, 9호선의 접근성도 좋은 편이다.동문건설이 평택시 신촌지구에서 분양하는 '평택 지제역 동문 굿모닝힐 맘시티'도 중소형 대단지로 구성됐다. 총 5개 블록에 4천567가구 규모로 이루어진 대단지로, 현재 3개 블록 2천803가구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7층, 전용면적 59~84㎡로 구성된다. /남양주금강주택이 남양주 다산신도시 B-7블록에 건설하는 '금강펜테리움Ⅱ' 투시도. /금강주택 제공
2016-10-13 경인일보
서울에서 시작된 아파트값 오름세가 추석 이후 수도권으로도 빠르게 확산되는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3일 한국감정원과 부동산 114 등에 따르면 지난주 신도시 아파트값은 0.12% 올라 추석 직후(0.08%)에 비해 상승폭이 0.04%포인트 커졌다.경기, 인천지역의 경우 2주 전 0.07%에서 지난주엔 0.10%로 오름폭이 확대되는 등 예전과 다른 움직임을 보였다.지난주 주간 상승률은 신도시의 경우 통계가 공개된 2011년 이후, 경기·인천 지역은 지난해 3월 이후 오름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특히 위례신도시의 오름폭은 2주 전 0.18%에서 지난주엔 0.24%로 확대됐고 일산(0.17%), 평촌(0.16%), 분당(0.14%), 파주 운정(0.14%), 산본(0.11%) 등도 추석 직후보다 상승폭이 커졌다.도내에서 그동안 오름세가 가팔랐던 성남(0.36%)과 과천(0.07%)의 상승세가 주춤한 사이 안양(0.36%), 광명(0.24%), 인천(0.12%), 김포(0.11%), 시흥(0.09%), 하남(0.07%) 등에서 상승폭이 확대됐다.이같은 영향 등으로 집주인들은 본격적인 상승 기대감에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높게 부르는 반면, 매수자들은 가격이 높아 추격 매수에 부담스럽다는 대조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전문가들은 본격 가을 이사철을 맞아 이 같은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저금리, 재건축 호재, 이사철 등이 겹치면서 수도권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탄 것으로 보인다"며 "이미 가격이 많이 오른 곳은 매수세 감소로 가격도 다소 조정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덜 오른 곳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더 확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성철기자 lee@kyeongin.com
2016-10-03 이성철
전국 시·군·구 가운데 미분양 주택 물량이 가장 많은 곳은 용인시로 나타났다. ┃그래픽 참조21일 부동산114가 국토교통부 미분양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 물량은 6만3천127가구로 전달(5만9천999가구) 보다 5.2% 늘었다.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12월 6만1천512가구로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해오다 올들어 5월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미분양 물량은 수도권에서는 용인시, 지방에서는 창원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 모두 최근 2~3년 사이 아파트 분양이 급증한 영향 때문이다.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2만1천393가구로 전달(2만3천325가구)에 비해 8.3% 감소한 반면 지방은 같은 기간 3만6천674가구에서 4만1천734가구로 13.8% 늘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1만7천243가구로 가장 많았다. 2015년 말 2만5천937가구 보다 33% 정도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에서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이어 경남(9천737가구), 충남(8천644가구), 경북(6천198가구), 충북(4천428가구), 인천(3천724가구), 강원(3천61가구), 전북(2천518가구) 순으로 미분양 물량이 많다. 특히 시군구 가운데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곳은 용인이다. 그나마 분양시장 호황으로 지난해 말(7천237가구) 보다 2천227가구가 줄었지만 여전히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은 상황이다. 7월 말 기준 5천10가구로 전국 미분양 물량의 8%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용인이 유독 미분양 물량이 많은 이유는 과잉 공급된 탓이 크다. 용인은 지난해에만 아파트 2만6천206가구가 분양됐고 올해도 8천498가구가 예정되어 있다.공급이 많았던 탓에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 물량도 많다. 전체 미분양 물량 중 절반 정도인 2천295가구가 아파트 준공 후에도 미분양으로 남았다. 이어 미분양 물량이 많은 곳은 창원(4천676가구), 평택(3천134가구), 천안(3천125가구), 포항(1천862가구), 안성(1천773가구) 순이었다. 이와 관련 부동산114 관계자는 "대규모 공급과잉 여파로 3개월 연속 미분양 물량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 당장 내년에도 올해보다 30% 이상 늘어난 33만4천452가구의 아파트가 입주를 앞두고 있어 이들 미분양 물량이 많은 지역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성철기자 lee@kyeongin.com
2016-09-21 이성철
556개 단지 일제점검 결과152억 부정지출·잘못징수전국 최초 종합대책 마련조사전담팀 전 시·군 설치국토부에 '처벌 근거' 요구경기도가 공동주택 관리비 비리 척결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마련한 것으로, 투명한 관리비 문화와 공동체 회복을 위한 조치다.남경필 지사는 12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공동주택 관리실태 일제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오랫동안 벌어졌던 공동주택 관리 비리를 한순간에 뿌리 뽑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며 "도민행복을 위해 작은 부분까지 꼼꼼하게 살피면서 잘못된 관행을 하나하나 바로 잡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도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도내 관리비 부실이 의심되는 556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일제 점검을 실시한 결과, 2년 동안 이들 아파트 단지에서 152억원의 관리비가 부정지출 또는 잘못 징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간 세대당 3만원의 관리비를 더 납부한 셈이며, 주요 원인은 관리주체의 업무 태만과 잘못된 비용 처리 등이었다.적발된 관리비를 분야별로 보면 장기수선공사비로 전용하는 등 부적정하게 사용한 관리비가 445개 단지에서 96억2천700만원, 입주자대표회의나 선거관리위원회 운영비 부적정 집행이 245개 단지에서 4억2천여만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관리소 직원에게 수당이나 퇴직금, 복리후생비 등을 추가로 지급한 사례가 544개 단지에서 31억300여만원, 청소·경비용역비 집행 부적정이 각 단지에서 20억5천만원으로 조사됐다.도는 이같은 아파트 비리를 막기 위해 현재 수원·용인·성남·안양시에만 있는 '아파트 관리비 조사전담팀'을 모든 시군에 설치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리비 점검을 상시 실시하며, 빅데이터 분석 항목도 현재 6개에서 47개 아파트 관리비 전체 항목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주민 30%가 요구하면 도 및 시군이 감사에 나서고, 입주자대표회의 등이 예산을 임의 집행할 경우 처벌할 수 있는 근거 등을 마련해 달라고 국토교통부에 건의했다. 입주민이 알기 어려운 용역업체 선정이나 공사계약 과정의 부정을 막기 위해 전문가가 입찰과 계약을 도와주는 서비스도 진행할 예정이다.남 지사는 "도가 투명한 관리비 문화를 만드는데 앞장 서겠다"며 "아파트 주민의 관심과 시장·군수의 지속적인 감시, 정부의 제도개선이 이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경진·전시언기자 lkj@kyeongin.com
2016-09-12 이경진·전시언
주민감사신청· 내역등 빅데이터 분석 '부실 의심대상' 추려도, 100% 적중률에 시·군 전담팀 설치 권장 교육지원 방침법률상 감독책임불구 도내 지자체들 무관심 '실효성 의문'경기도가 펑펑 새는 공동주택 관리비 비리를 척결하기 위해 종합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법률상 감독책임이 있는 일선 시군들의 의지가 턱없이 부족해 벌써 실효성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도는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시군에 조사전담팀 설치를 권장하고 있지만, 현재 운영 중인 수원·성남·용인·안양 등 4곳을 제외하고 추가설치 계획이 있는 곳은 1곳도 없다. ■관리비리 합동점검추진방법과 의심단지 선정방법은도는 지난 4월부터 두 달 동안 556개 단지를 대상으로 시·군과 합동점검을 실시했다. 556개 관리비 부실 의심단지선정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516개 단지와 지난해 아파트 회계감사에서 부적정 판정을 받은 36개 단지, 올 상반기 동안 주민감사 신청이 들어온 4개 단지다. ┃그래픽 참조앞서 도는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 공개된 도내 3천117개 의무관리대상(150세대 이상, 승강기 설치 또는 중앙집중난방방식의 공동주택) 아파트 단지의 2013년부터 2014년 2년 동안 관리비 내역을 분석했다. 도는 이들 관리비 내역 가운데 주민생활과 밀접한 장기수선충당금, 인건비, 수선유지비, 전기, 수도, 난방비 등 6개 항목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고 이 중 관리비가 높은 상위 17%에 해당하는 516개 단지를 관리비 부실 의심단지로 꼽았다.점검결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리비 부실 의심을 받은 556개 단지 모두 관리비리 요인이 적발됐다.■관리비리 척결을 위한 과제빅데이터 분석결과 비리의심 단지 적중률이 100%로 나타남에 따라 도는 공동주택관리의 효율화와 입주자 보호를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우선 빅데이터를 이용한 관리비 점검의 상시화인데, 조사전담팀이 없으면 사실상 실현 불가능한 대안이라 시군의 적극적인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도는 시군에 이를 권장하는 동시에 전문 공무원 육성을 위한 교육 등을 지원할 예정이지만, 현재까지는 이를 요청하는 시군이 사실상 없는 상태다.이럴 경우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라 입주민 30% 이상이 아파트관리 비리 감사를 요청해도 시군에서는 이를 실시할 수 없어 결국 도 조사전담팀에서 이를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조사전담팀이 없는 시군 27곳에서 감사요청이 밀려 들어오다 보니 순번이 뒤로 밀려 주민들의 고충만 이어질 수 있다.남경필 경기도지사는 "국민의 무관심이 이어지면서 아파트관리 비리에 대한 잘못된 관행이 자리 잡은 것 같다"며 "아파트 관리는 '사적자치의 영역'이기 때문에 현재의 행정영역에서 모두 점검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입주민의 관심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경진·전시언기자 cool@kyeongin.com남경필 경기도지사가 12일 오전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공동주택 관리비 일제점검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경기도는 관리비 부실이 의심되는 도내 556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일제점검을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 단지 전체에서 2년 동안 관리비 152억원이 부적정하게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임열수기자 pplys@kyeongin.com
2016-09-12 전시언·이경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