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동안 사업이 진척되지 않고 있는 인천 남구 숭의3구역 재개발 정비사업이 임대주택 사업으로 전환된다.국토교통부는 4일 인천 숭의3구역 등 '정비사업 연계 공적 임대주택' 후보지 5곳을 선정하고 일반 분양분 전체를 임대주택으로 공급한다고 밝혔다. 인천 남구 숭의동 18 일원 3만2천995㎡ 부지 주택을 헐어 658세대 규모 아파트를 짓는 기존 계획은 폐기되고, 704세대의 공공지원 민간임대 주택 사업이 추진된다.공공지원 민간임대 주택 사업이란 정비조합의 일반 분양 물량을 임대사업자가 통째로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시세 대비 95% 이하로 공급하고,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특별 공급 물량을 배정하는 등 기존 민간 임대주택 사업보다 공공성이 강화됐다. 사업비는 LH 출자(20%), 민간차입(80%) 등으로 충당한다. → 위치도 참조숭의3구역은 2008년 정비구역으로 지정돼 재개발조합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10년 7월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롯데건설이 아파트를 지을 계획이었지만, 경기침체로 인해 사업이 중단됐다.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장기간 정체된 전국 재개발·재건축 사업지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했고, 인천에서는 숭의3구역과 동구 송현1·2차아파트 재건축구역, 동구 송월구역 등 3곳이 신청했다. 국토교통부는 사업의 공공성, 입지 적정성, 현장실사 평가를 통해 인천 숭의3구역을 비롯해 파주, 원주, 포항, 대구 등 총 5곳(5천560세대)을 후보지로 선정했다.국토부 관계자는 "숭의3구역은 사업성이 검증됐고, 사업 시행자와 지역 주민들의 사업 추진 의사가 뚜렷한 지역이라 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인천시는 조만간 이 같은 내용으로 숭의3구역 주택재개발 사업 정비계획을 변경할 계획이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2018-04-04 김민재
철거 건물터 2013년 당시 중구청장 동생 김홍빈씨가 기부구는 문화재청·근대건축가 자문 통해 호텔 외관건물 복원1관 대불호텔관 2관 1960~1970년대 중구 생활문화사 재현인천 개항 역사의 중심에 있던 대불호텔(인천시 중구 중앙동 1가 18번지)이 '생활사전시관'으로 새롭게 태어났다.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호텔인 대불호텔은 1978년 철거된 이후 건물터만 남아있었다. 2013년 당시 토지 소유주인 김홍섭 인천 중구청장 동생 홍빈씨가 토지를 기부해 구가 문화재청과 근대건축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예전 건물 외관을 재현했다.대불호텔과 관련해 역사적으로 유명인사가 사용했다는 기록은 다양하게 남아 있다. 배재학당을 세운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H. G. Appenzeller)는 비망록 '한국에서 우리의 사명(Our Mission in Korea)'에서 1885년 4월 5일 처음 인천을 방문해 일주일간 대불호텔에 머물렀던 때를 이렇게 기록했다. "호텔 방은 편안할 정도로 넓었다. 테이블에 앉자 잘 요리되어 먹기 좋은 서양 음식이 나왔다" 1897년 3월 25일 자 윤치호의 일기에는 "상하이에 가기 위해 대불호텔을 들렀고 이곳에서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을 만났다"는 기록도 전해지고 있다.대불호텔은 1885년 처음 운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1888년 3층으로 개축해 본격적인 호텔로 운영했다. 1918년, 뢰(賴)씨 일가를 비롯한 40여 명의 중국인이 대불호텔을 인수, 일본인과 중국 상인들을 상대로 북경 요리 전문점인 '중화루'를 운영했다. 중화루는 개점하자마자 그 명성이 서울에까지 알려질 정도로 성장하며 한동안 인천의 대표명소로 알려졌다. 1960년대 접어들면서 경영난에 빠졌고 1970년대 초에 문을 닫았다. 1978년에 건물이 철거될 때까지 중화루라는 간판은 걸려 있었지만, 내부는 월셋집으로 운영됐다고 한다.대불호텔을 재현한 '생활사전시관'은 6일 개관한다. 대불호텔 외관을 복원하고 생활사전시관으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김홍섭 구청장과 동생 홍빈 씨의 기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김 구청장 형제는 "건축 초기의 대불호텔 외관을 복원해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의 도시경관을 보존하고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2013년 9월 중앙동 1가 18번지의 옛 대불호텔 부지 386.8㎡를 구에 기부채납 했다. 당시 토지가격만 해도 6억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구는 2014년부터 25억8천9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복원작업을 착수해 최근 준공했다.중구 생활사전시관은 제1관 대불호텔 전시관과 제2관 1960~1970년대 생활사 전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관 대불호텔 전시관은 연면적 628.82㎡ 지상 3층 규모이며, 제1전시실인 1층에서는 터파기 공사 중 발견된 건물 터를 실내에서 볼 수 있으며, 대불호텔이 변화해온 모습과 대불호텔의 사계절을 주제로 한 영상물을 감상할 수 있다. 2층에서는 근대 호텔의 역사와 개항과 함께 들어온 신문물을 관람할 수 있는 제2전시실과 당시의 객실 모습을 연출한 전시실이 마련돼 있다. 3층의 연회장은 세미나, 강연, 전시회 등으로 대관해 활용할 계획이다.제2관 1960~1970년대 생활사 전시관은 인천 중구가 출범한 1968년을 기준으로 1960~1970년대 인천 중구와 관련된 생활사를 볼 수 있는 전시관이다. 전시관은 연면적 761.84㎡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이며, 지하 1층에는 중구 출범 후부터 현재까지의 중구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연표가 전시돼 있다. 지상 1층에서는 1960~1970년대 중구의 의·식·주 문화를 볼 수 있으며, 특색있는 음식과 문화상품을 판매하는 전문판매점이 운영된다. 지상 2층은 백항아리 선술집, 극장, 다방과 같은 당시의 문화생활을 엿볼 수 있다.전시관 관람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 구는 앞으로 공간 대관과 유물 기증 등 구민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해 유익하고 내실 있는 전시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진호기자 province@kyeongin.com김홍섭 인천 중구청장 동생 김홍빈 씨가 지난 2013년 9월 "건축 초기의 대불호텔의 외관을 복원해 개항기 근대건축물 밀집지역의 도시경관을 보존하고, 지역 문화·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중앙동1가 18번지의 옛 대불호텔 부지 386.8㎡를 구에 기부채납 한 이후 구가 25억8천여만원을 들여 최근 복원을 마쳤다. /중구 제공전시관 내 1960~1970년대 가정집 내부. /중구 제공옛 호텔 객실 내부 모습. /중구 제공
2018-04-04 이진호
종합물류기업 한진이 인천국제공항 자유무역지역에서 새로운 물류거점 역할을 할 '글로벌 물류센터(GDC)'를 개발한다.한진은 자유무역지역 내 1만3천762㎡ 부지에 GDC 건립 공사를 곧 시작해 2019년 완공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한진은 GDC를 항공, 포워딩 및 국제특송, 국내 택배를 연계한 복합거점으로 구축해 수출입 물류뿐만 아니라 자유무역지역을 거쳐 다른 국가로 운송되는 환적(換積) 화물 등을 집중적으로 유치한다는 계획이다.한진은 GDC에 보관, 재고 관리, 포장 및 가공, 통관, 해외 배송 등이 일원화된 물류서비스 기능을 갖추게 된다. 최신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화물 분류·통관 등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관세청과 고객사 요구에 맞춘 공급망, 창고, 주문 등 관리시스템을 적용한다. GDC는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셀러'의 아시아 지역 전진기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유럽 등에 있는 전자상거래, 제조업체들의 화물을 보관하고 있다가 이를 개별 물품으로 아시아 지역에 다시 배송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인천공항 자유무역지역에서는 한진 이외에 다른 국내 물류업체들도 GDC 구축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인천공항의 물류 허브 기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본부세관 관계자는 "국내 업체 3~4곳 정도가 올해 중 GDC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라며 "조만간 구체적인 운영 업체와 계획 등이 공개될 것"이라고 했다. /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한진 GDC 조감도. /한진 제공
2018-04-03 홍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