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서울과 수도권 등지에 4만여 가구가 공급될 전망이다.2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달 전국적으로 4만 87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만 8천717가구)보다 소폭 늘었다.수도권 일대에선 전체의 64%에 달하는 2만 5천754가구가 분양할 예정이다.또 지방에선 1만 4천333가구가, 서울에서는 총 1만 883가구가 공급된다.양천구 신정동 래미안목동아델리체(1천 497가구), 성북구 장위동 꿈의숲아이파크(1천 711가구), 동대문구 전농동 청량리역롯데캐슬 SKY-L65(1천 425가구) 등이 6월 분양을 준비 중이다. 경기도에선 김포시 고촌읍 캐슬앤파밀리에시티 2차(2천 255가구)와 수원시 고등동 수원고등푸르지오자이(4천 86가구) 등 대단지 아파트 분양이 예정돼 있다. 이어 지방의 경우 대구가 3천49가구, 수성구 범어동 수성범어에일린의뜰(719가구)과 중구 남산동 남산2-2롯데캐슬(987가구) 등이 내달 분양된다.이 외에도 부산에서 2천 956가구, 경남 1천 961가구, 강원 1천 275가구, 전남 989가구, 경북 656가구가 분양 대기 중이다.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5월에서 이월된 물량을 포함해 다음 달 4만 가구가 넘는 아파트 분양이 예정돼 있지만, 지방선거와 월드컵 등 굵직한 행사와 분양가 조율 등의 문제로 실제 분양 일정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6월 전국 아파트 분양 계획
위치
아파트명
총가구수
전용면적(㎡)
서울
강동구
상일동
고덕자이
1,824
48-118
노원구
상계동
상계꿈에그린
1,062
49-114
노원구
공릉동
태릉효성해링턴플레이스(가칭)
1,287
49-84
동대문구
전농동
청량리역롯데캐슬SKY-L65
1,425
84-119
동작구
신대방동
협성휴포레신대방
274
84
동작구
동작동
이수교2차KCC스위첸
366
59-84
서초구
서초동
래미안서초우성1
1,317
59-235
성북구
장위동
꿈의숲아이파크(장위7구역)
1,711
39-111
양천구
신정동
래미안목동아델리체
1,497
39-115
경기
수원시
고등동
수원고등푸르지오자이(가칭)
4,086
59-101
김포시
고촌읍
캐슬앤파밀리에시티2차
2,255
74-125
대구
수성구
범어동
수성범어에일린의뜰
719
70-102
수성구
시지동
고산역화성파크드림
112
59-84
부산
북구
구포동
구포반도유보라
790
59-84
연제구
연산동
연산3구역힐스테이트
1,663
60-85
강원
동해시
천곡동
천곡동중앙아파트재건축
241
59-84
춘천시
약사동
약사5구역모아엘가
567
59-83
경남
양산시
주진동
양산주진동한신더휴
625
59-84
통영시
광도면
통영의아침에르가
136
112-208
전남
여수시
소라면
힐스테이트죽림
989
59-84
충남
당진시
수청동
당진대덕수청지구시티프라디움
849
59-84
충북
청주시
가경동
청주가경아이파크3차
983
84-144
※ 분양시기는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자료
부동산114]
2018-05-24 이상훈
사업구조 변경후 인천도시公 맡아내달까지 이주완료… 절반 철거돼추억물품 재활용·디자인 공원 전시재능기부 지원·커뮤니티 시설 조성인천 부평구 십정2구역(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연계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주민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방식의 주거복지 융·복합 시범사업으로 추진된다.인천도시공사는 23일 십정2구역 민간임대주택 사업자, 시공사, 주민대표회의 위원장, 지역활동가 대표, 도시재생전문가 등과 '도시재생 주거복지 융·복합 시범사업'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십정2구역(부평구 십정동 216 일대 19만2천687㎡)은 2007년 2월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됐다. 주거환경개선지구는 주택재개발 대상지보다 건물 노후화가 심한 곳을 말한다. 최초 사업시행자는 LH다. 부동산 경기침체와 사업성 부족으로 사업이 지연되자 2015년 12월 뉴스테이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사업 구조를 변경하면서 인천도시공사가 맡게 됐다. 다음 달까지 이주가 완료될 예정이며, 현재 철거 진행률은 약 50%다.이날 협약에 참여한 기관·단체는 2주마다 모여 십정2구역의 흔적을 남기고 주민 공동체를 유지·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총괄계획가는 신중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로, 그는 서울 창신·숭인 도시재생 선도지역 총괄코디네이터로 활동한 경험이 있다.십정2구역 시범사업의 주제는 '장소(場所)의 혼(魂)을 남긴다'. 인천도시공사는 십정2구역에 있던 나무, 대문, 문패, 간판, 목욕탕 옷장 등 추억이 깃든 물품을 재활용·디자인해 공원 등 사업 구역에 전시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공부방을 비롯한 지역활동가들의 재능기부 및 자원봉사, 지역축제 등이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주민 공동체를 위한 커뮤니티 시설도 조성한다.인천도시공사 송종섭 공공주택사업처장은 "전면 철거(관리처분) 방식으로 추진되지만, 주민들은 잠시 떠났다 돌아오게 돼 있다"며 "마을과 주민들의 흔적을 남기고 재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천도시공사가 예상하는 원주민 재정착률은 87%다. 신중진 총괄계획가는 "비록 기존 마을은 전체가 철거돼 사라지지만 마을의 장소성을 살리고 주민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즉 사람이 중심이 되는 마을로 다시 태어나게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사업자·주민·전문가 모여 협약 인천도시공사(사장·황효진, 사진 오른쪽에서 네 번째)는 23일 십정2구역과 관련해 '도시재생 주거복지 융·복합 시범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십정2구역의 물리적 흔적을 남기고 주민 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협약이다. /인천도시공사 제공
2018-05-23 목동훈
수원시 대표 구도심 지역으로 꼽히는 팔달구 매교동·인계동 일원이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을 통해 미니 신도시로 탈바꿈하게 될 전망이다. 조합과 일반·임대분양 아파트 총 6천600여 세대 대단지가 들어서는 해당 사업 부지에는 현재 분당선 등 더블역세권이 형성돼 있다. 사업 시행 또한 대우건설과 SK건설, GS건설, 현대산업개발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맡아 침체된 수원지역 부동산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수원시 내 재개발 사업 중 가장 빠른 속도를 내고 있는 곳은 매교동·인계동 일대 115-8구역(수원 팔달 8구역)이다. 이곳은 지난 2008년 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은 뒤 2010년 정비구역으로 지정 고시됐으며, 같은 해 10월 아파트 건립을 위한 조합설립 인가 등 행정 절차를 모두 완료하며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는 듯 했다. 하지만 민간 사업자들이 건설경기 침체 등의 이유로 사업에 난색을 보이면서 8년간 어려움을 겪어 오다가, 우여곡절 끝에 지난 2016년 6월 사업시행인가가 이뤄지면서 사업에 다시 시동이 걸렸다. 이어 지난해 8월에는 팔달 8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조합과 대우건설·SK건설 컨소시엄이 '수원 팔달 8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시공 계약을 체결하면서 급물살을 타게 됐다. 수원 팔달구 매교동 209-14 일대를 재개발하는 이 사업을 통해 16만3천781㎡ 규모의 부지에는 지하 3층 지상 20층, 52개 동, 3천603세대 규모로 대단지 아파트가 조성된다. 재개발 조합은 구역 내 4천860여 세대(조합원 1천500세대, 현금 청산자 360세대, 세입자 3천세대)를 대상으로 조합원 모집과 손실보상에 관한 협의 보상 등을 시작해 올해 5월 현재 77% 이상이 이주를 완료, 수원지역 재개발 사업 중 가장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곳으로 떠올랐다. 오는 12월까지 이주가 최종적으로 마무리되면 내년 4월까지 건축 등 철거 작업을 끝낸 뒤 6월께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2년 5월 준공한다는 계획이다.팔달 8구역과 바로 인접한 팔달 115-9구역(팔달구 인계동 847-3 일원) 주택재개발 정비사업도 진행 중이다. 지난 2010년 조합이 설립된 팔달 9구역 재개발 사업은 지난해 3월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받아 현재 조합원 656명, 현금 청산자 611명, 세입자 1천281명 중 60% 이상이 이주를 마쳤다. 토지 보상과 주택 및 지장물 철거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으로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0년 하반기에 준공될 것으로 보인다.GS건설과 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은 이 사업은 12만6천721㎡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25층, 30개 동, 3천191세대(임대주택 241가구 포함)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와 소공원, 동 주민센터, 사회복지시설 등이 조성된다. 그 외에도 삼성·SK·코오롱 컨소시엄이 12만6천278 ㎡ 부지에 2천178세대를 조성하는 권선 113-6구역(세류동 817-72 일대 ), 현대·대우건설 컨소시엄이 13만9천175㎡ 부지에 2천586세대를 조성하는 팔달 115-6구역(교동 115-41 일대) 등의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오는 2022년 하반기께 이들 단지가 모두 조성되면 수원 지역 내 가장 큰 단지를 자랑하는 수원 한일타운(5천 200여 세대)보다 2배 이상 규모의 미니 신도시급 대단지가 탄생하게 된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매교역 주변 대단지 아파트가 조성될 현장의 모습.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
2018-05-23 이상훈